첫눈애안과 윤삼영 대표원장
첫눈애안과 윤삼영 대표원장

안구의 가장 안쪽 면에 자리하는 신경 조직을 망막이라고 하는데, 이 중에서도 중심 부분이 황반이다. 망막에 노폐물이 쌓이거나 눈 속 혈관의 혈액순환이 불량해지면 그 보상작용으로 신생혈관이 생기는데, 이러한 신생혈관들은 정상적인 구조를 갖추지 못해 쉽게 터지기 때문에 안구 내 출혈을 가져와 심각한 시력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

연령성 변화로 노폐물이 배출되지 않고 신경 조직에 쌓이게 되면서 황반부의 기능을 점차 잃어가는 질환을 황반변성이라고 한다. 황반변성은 우리나라의 40세 이상 인구에서 6.6%, 60세 이상에서 11.7%의 유병률을 보인다. 황반변성은 해가 지날수록 증가 추세이며 실명의 가장 큰 원인 중 하나이다.

황반변성이 생기면 글자가 뭉개져 보이거나 직선이 휘어져 보이는 변시증이 나타난다. 상태가 더 진행되면 글자에 공백이 생기거나 중심 부분이 지워진 것처럼 보여 독서나 미세한 작업, 밤 운전이 힘들어진다. 또한 대비감도가 떨어져 색깔이 선명하게 보이지 않게 되기도 한다. 황반변성이 한쪽 눈만 진행된 경우에는 정상적으로 기능을 하는 반대쪽 눈을 사용하게 되므로 초기에는 증상을 잘 못 느끼고, 어느 정도 진행되어서야 병원에 내원하게 된다.

황반변성의 위험인자로는 나이, 흡연, 가족력, 고혈압, 고지방 식이, 비만 및 고콜레스테롤혈증, 태양빛 노출 등이며 특히 이 중 나이는 가장 확실하고 강력한 위험인자이다. 따라서 40대 이상에서 부터는 다른 지병이 없더라도 매년 검진을 통해 황반변성의 유무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나이와 관련한 황반변성의 치료는 건성 타입의 경우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습성 타입으로의 진행 여부를 확인하고 이외에 발생할 수 있는 다른 안구 질환을 예방하는데 목적이 있다.

황반변성은 일반적으로 건성과 습성, 2가지 유형으로 나뉘는데 그 중 건성 황반변성이 황반변성의 90%를 차지하며, 이 경우 망막에 노폐물이 쌓이고 위축과 같은 흉터가 생긴다. 황반에 있는 시세포가 서서히 위축되어 시간이 지날수록 시력이 차차 떨어지며, 습성 황반변성의 형태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정기적 경과 관찰이 필요하다.

습성 황반변성은, 신생혈관의 증식으로 망막에 부종이나 출혈, 삼출이 동반되며 진행 속도가 빨라서 수 주 안에 시력이 급속도로 나빠질 수 있다. 발병 후 수개월에서 수년 사이에 위축, 심한 출혈 등으로 실명의 가능성이 있다.

습성 타입의 경우, 항혈관내피 성장 인자의 안구 내 주사 요법이 표준 치료로 보통은 4주~수개월 단위로 주사의 망막 반응을 살펴보며 정기적이고 반복적인 주사 치료가 필요하다. 이 치료법은 유리체강 내에 혈관내피세포 성장 인자를 억제하는 인자를 직접 주사하여, 정상 망막 시세포는 파괴하지 않고 비정상적으로 증식하는 혈관을 억제하고 혈관 투과성을 감소시켜 중심시력의 저하를 막는데 효과적이다.

유리체강내 주사는 경구제나 혈관주사로는 전달이 안 되는 망막에 효과적으로 약제를 전달할 수 있지만, 눈에 직접 주사하기 때문에 환자들이 두려워하거나 불안감이 큰 편이다. 그러나 망막질환에서 흔히 시행되는 치료일 뿐 아니라 철저한 소독 후 무균상태에서 처치한다면 만족스러운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다. 단, 진단이 늦어지거나 병이 진행된 상태에서는 주사의 효과도 많이 기대하기 어려울 수 있어 조기 진단 및 예방이 가장 중요하다.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 전신질환에 걸리지 않도록 하고, 루테인, 지아잔틴, 오메가3, 비타민C와 E, 구리, 아연이 포함된 영양제의 복용, 금연, 적절한 체중유지, 과도한 스트레스를 피하는 등 올바른 생활습관을 갖는 것도 중요하다. 야외활동이 많은 사람은 챙이 긴 모자나 선글라스를 착용하여 자외선을 차단하고,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질환을 초기에 발견하도록 노력한다.

한쪽에 황반변성이 있거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는 반드시 안과 검진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고, 격자무늬 자가 검진표를 이용한 자가검진을 실시해 습성 황반변성을 일찍 발견하여야 시력을 보전할 수 있다.

이식이나 인공재료 등을 통해 대체가 가능한 각막이나 수정체와 달리, 망막은 대체 불가능하며, 한번 손상되면 회복하기 힘들다. 재생 또한 불가하므로 망막 손상으로 인해 저하된 시력은 이전 상태로 회복되기 어려워 안과 검진을 통해 질환이 조기 발견됐다면 서둘러 치료해야 한다. 다양한 장비를 통한 망막검사로 황반변성의 진단이 가능하며, 세밀한 진단을 위해서는 환자의 혈관에 조영제를 주입해 망막 사진을 촬영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글 : 첫눈애안과 윤삼영 대표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