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톱은 평소 주의 깊게 살피지 않는 부위이나, 내향성 발톱은 일상생활에 상당한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신발 착용이나 보행 시 발톱 부위의 통증과 함께 부종 및 염증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면 조갑감입증(Ingrown Toenail)을 의심해야 한다.조갑감입증은 발톱의 측면 또는 모서리가 주변 연부조직을 파고들면서 염증과 통증을 유발하는 조갑 질환이다. 흔하게 관찰되지만, 단순한 형태적 문제를 넘어 세균 감염이나 피부 괴사로 악화할 수 있으므로,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 및 지속적인 관리가 필수적이다.내향성 발톱의 발병 원인은 발톱이 주변 피부를 지속적으로 압박하는 모든 상황이 될 수 있다. 특히 엄지발톱에서 주로 발생하는 이유
시지바이오(CGBIO)는 넥스젤바이오텍과 차세대 온도감응성 하이드로겔 기반 장기 지속형 약물전달 플랫폼 공동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협력은 넥스젤바이오텍의 합성 고분자 하이드로겔 기술과 시지바이오의 임상·개발·제조 인프라를 결합해 체내 약물 방출 기간을 대폭 늘리기 위함이다.약물전달 플랫폼은 주입 후 조직 내 체온에 반응해 액체에서 겔로 변하며 약물을 서서히 방출하는 운반체다. 기존 의료기기형 캐리어가 수일 수준의 방출에 머문다면, 이번 기술은 조건에 따라 최대 40일 이상 약물 효과를 지속할 수 있다.한 번 주입으로 장기간 치료가 가능해 재투여와 병원 방문 부담이 줄고, 얇은 바
배장환 좋은삼선병원 순환기내과 소장이 23~24일 일본 고베에서 열린 국제 심혈관 중재시술 학회 CCT 2025(Complex Cardiovascular Therapeutics 2025)에 초청돼 최신 심혈관 중재술 사례를 소개했다고 밝혔다.CCT는 심혈관 중재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권위 있는 학회로, 매년 고베에서 개최되며 전 세계 전문가들이 참여한다. 학회에서는 고난도 관상동맥 중재술, 만성 폐색 병변(CTO) 치료 및 신기술 적용 등이 논의된다.배 소장은 학회 첫날 ‘Case Competition/CHIP’ 세션 좌장을 맡았으며, 같은 날 오후 ‘우측 복직근 혈종 관련 시술 후 쇼크(Postprocedural shock related to right rectus abdominis hematoma)’를 주제로 발표했다.24일에
AI 기반 혈액·암 진단 기업 노을이 타겟 세포 탐지를 위한 ‘생성형 AI 데이터 증강 기술’에 대해 국제특허(PCT) 출원을 완료했다고 23일 밝혔다.이번 특허는 말라리아 감염 적혈구, 자궁경부암 세포, 특이형 백혈구 등 다양한 타겟 세포를 정확히 식별할 수 있도록 학습 데이터를 생성·확장하는 AI 기술에 관한 것이다. 노을은 이번 출원을 통해 지식재산 경쟁력을 높이고 향후 진단 제품 개발에 활용할 계획이다.임찬양 대표는 “혈액 및 암 병리 진단 분야는 아직 디지털화 초기 단계라 학습용 데이터가 제한적이다. 노을의 AI 데이터 증강 기술이 데이터 부족 문제를 개선해 연구와 진단 정확도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신창호 서울대병원 소아정형외과 교수가 대한정형외과학회 제69차 국제학술대회에서 임상연구 부문 학술본상을 받았다. 이 상은 정형외과 분야에서 뛰어난 연구 성과를 낸 연구자에게 주어진다.신 교수는 ‘비구 이차골화중심의 정상 발달과 대퇴골두 피복에 미치는 영향’ 연구를 통해 청소년기의 고관절 발달 과정을 세계에서 처음으로 규명했다. 3차원 CT로 소아청소년 골반 뼈에서 이차골화중심과 대퇴골두 피복 변화를 정량 분석한 이 연구는 고관절 질환 예후와 최적 수술 시기를 판단하는 근거를 제시해 권위 있는 ‘The Journal of Bone and Joint Surgery’에 실렸다.신창호 교수는 “성장기 고관절 구조 변화를 이해해 불필요한 수술을
과거에는 인공관절 수술이 매우 고통스러운 과정으로 인식됐지만, 최근에는 여러 분야의 협력 통증 관리로 수술 후 통증이 크게 줄어들었다. 더 이상 극심한 통증에 대한 두려움으로 수술을 미루지 않아도 되는 시대다.인공관절이란 손상된 관절을 인공적인 재료로 치환하는 수술을 의미한다. 관절은 뼈와 뼈 사이의 움직임을 담당하며, 연골과 윤활액이 완충 역할을 해준다. 나이가 들면서 연골이 점차 닳아 없어지면 퇴행성 관절염이 생기고, 말기에는 뼈끼리 맞닿으며 극심한 통증과 변형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약물이나 주사로는 통증 조절이 어렵기 때문에 인공관절 치환술을 고려하게 된다.인공관절 수술은 주로 다리에 많이 시행
인제대 상계백병원이 지난 21일 ‘제1회 신생아 소생술 실습교육’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교육은 보건복지부 모자의료 진료협력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지역 협력병원의 신생아 응급 대응 능력 강화와 진료 네트워크 확대를 목표로 진행됐다.메디아이여성병원 의료진 8명이 참석했고, 상계백병원 신생아중환자실 심규홍·김승연 교수가 강사로 나섰다. 참가자들은 최신 소생술 지침을 배우고, 기도 확보부터 흉부 압박, 약물 투여까지 실습하며 현장 대응력을 높였다.교육은 NICU 병동 견학, NRP 알고리즘 검토, 실습 및 질의응답으로 구성됐다. 심규홍 교수는 “신생아 응급은 생명과 직결된 만큼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이 필수”라며 “이번
이동원 건국대병원 정형외과 교수(스포츠수술·통증클리닉) 연구팀이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재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자가 대퇴사두건-골편(quadriceps tendon autograft with bone block)을 이용한 재건술의 안정성과 기능 회복 효과를 확인했다고 밝혔다.전방십자인대는 무릎 회전 안정성에 핵심적인 구조물로, 손상 시 수술적 재건이 필요하다. 하지만 재부상이나 이식건 부적합, 터널 확장 등으로 재수술이 필요한 사례도 적지 않다. 특히 재수술은 이전 수술로 인한 골 결손이나 관절 변화로 난이도가 높아, 이식건의 안정적 생착이 수술 성공의 핵심이 된다.이 교수팀은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재수술을 받은 활동
강원대학교병원이 지난 6월 19일 최신형 로봇수술기기 ‘다빈치 5(Da Vinci 5)’를 도입한 이후, 125일 만에 로봇수술 100례를 달성했다고 밝혔다.다빈치 5는 고해상도 3D 영상과 정밀한 조작 기능을 갖춘 차세대 로봇수술 시스템으로, 의료진의 세밀한 술기를 구현해 수술 후 합병증을 줄이고 회복 속도를 높이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현재 강원대병원은 산부인과(자궁근종, 난소암 등), 비뇨의학과(전립선암, 신장낭종 등), 외과(대장암, 담낭낭종 등) 등에서 로봇수술을 시행 중이다. 병원은 향후 적용 범위를 확대하고, 전담 인력 확충과 술기 교육을 통해 로봇수술의 안정성과 효율성을 높일 계획이다.로봇수술도입추진TF 단장을 맡은 김정현
쿠팡이 오늘 대구 엑스코(EXCO)에서 개막한 ‘2025 미래혁신기술박람회(FIX 2025)’에 참가해 ‘쿠팡의 AI·로보틱스가 만드는 유통·물류 혁신’을 주제로 전시 부스를 운영한다고 밝혔다.‘미래혁신기술박람회’는 모빌리티, 로봇, 정보통신기술(ICT) 등 첨단 산업을 총망라한 국내 최대 규모의 기술 전시회로, 한국판 CES(국제전자제품박람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올해는 국내외 585개 기업이 참여해 AI 시대의 기술 비전과 산업 혁신을 제시한다.쿠팡은 이번 전시에서 로켓배송의 핵심 동력인 자동화 물류 기술과 운영 사례를 집중적으로 소개한다. 수백 개의 상품을 실은 선반을 통째로 옮기는 ‘무인운반로봇(AGV)’, 상품 상자를 스스로
한국원자력의학원이 차세대 암 치료 기술로 주목받는 붕소중성자포획치료(BNCT)의 기술 고도화와 국제 협력 강화를 위해 지난 21일 ‘아시아의 BNCT 동향 및 미래’를 주제로 국제 세미나를 열었다고 밝혔다.BNCT는 붕소 약물을 암세포에 선택적으로 축적시킨 뒤 외부 중성자 조사로 핵반응을 유도해 암세포만을 정밀하게 파괴하는 방사선 치료법이다. 정상 조직 손상은 최소화하고 치료 정확도는 높인다는 점에서 국내외 관심이 커지고 있다.일본, 러시아, 유럽 등과 함께 한국도 BNCT 기술 개발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특히 아시아 지역에서는 임상 적용과 상용화를 놓고 활발한 기술 경쟁이 이뤄지고 있다. 이번 세미나는 이러한 글로벌 흐름
한독과 대한약학회가 공동 주관하는 제56회 ‘한독학술대상’ 수상자로 홍진태 충북대학교 약학대학 교수가 선정됐다고 밝혔다.‘한독학술대상’은 1970년 제정된 상으로, 15년 이상 약학 연구에 기여한 연구자 중 학문적 성과와 학회 활동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선정한다.홍 교수는 CHI3L1 단백질을 타깃으로 한 암 및 염증성 신경질환의 발병 기전 연구와 치료제 개발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또한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접목한 신약개발 연구를 선도하며, 기초의과학선도연구센터(MRC) 센터장을 두 차례 역임했다.국제학술지에 20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으며, 평균 영향력지수(IF)는 6.4점, 인용지수(D-index)는 80점을 기록하는 등 국내 연구
한양대학교의료원은 다음달 2일 스위스 그랜드호텔에서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총동문회와 함께 ‘2025 한양대학교병원 통합 학술대회 및 한양의대인의 밤’을 연다고 밝혔다.이번 행사는 개원의들이 현장에서 자주 접하는 임상 이슈를 중심으로 최신 치료법과 실제 사례를 공유하는 자리다.학술대회는 네 개 세션으로 구성됐다. 첫 번째 세션은 ‘방문진료와 비만치료’를 주제로 윤호주 의료원장과 김병근 총동문회장이 좌장을 맡는다. 오동호 원장이 ‘초고령 시대 방문진료’를, 박계영 교수가 ‘비만 약물 치료 최신지견’을 강의한다.두 번째 세션 ‘관절 통증 관리’에서는 박훈기 의과대학장과 차왕기 학술위원장이 좌장으로, 최수진 교수가
한동훈 인천나은병원 심장내과 과장이 61세 여성 환자에게 고난도 난원공 개존증(PFO) 폐쇄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했다고 밝혔다.환자는 뇌경색 진단 후 심장 검사를 통해 난원공 개존증을 발견했고, 시술 후 별다른 합병증 없이 안정적으로 회복 중이다. 난원공 개존증은 심방중격에 있는 통로가 출생 후 닫히지 않아 혈전이 뇌로 이동할 위험이 있는 상태다.이번 시술은 대퇴정맥을 통해 도관을 삽입하고, 심장내초음파(ICE)로 폐쇄 기구를 정확히 위치시켜 구멍을 막는 방법으로 진행됐다.한동훈 과장은 “난원공 개존증 폐쇄술은 환자 상태를 세심히 평가한 뒤 신중히 시행해야 하는 시술”이라며 “이번 성공으로 지역 내 심장 질환 환자들에게
대한치매학회와 국립현대미술관이 인지장애 어르신과 가족을 위한 예술치유 프로그램 ‘2025 일상예찬: 함께 만드는 미술관’을 개최했다고 밝혔다.올해로 11년째를 맞은 이 프로그램은 지난 21일부터 30일까지 총 6회에 걸쳐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열린다. 단순한 미술 감상에 그치지 않고, 작품 기반의 표현 활동과 신체 움직임을 더해 인지·정서·신체 기능을 함께 자극하는 다감각 예술 활동이다.참가자들은 ‘한국현대미술 하이라이트’ 전시 작품을 감상한 뒤, 교구를 활용한 표현 활동을 통해 기억과 감정을 꺼내본다. 미술관 안팎을 거닐며 자연을 체험하는 ‘예술 산책’도 마련돼, 인왕산 풍경과 미술관의 식물을 관찰하며 정서적
노화는 피할 수 없지만, 그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최근 바우스의원은 ‘Better Aging’을 키워드로 한 치료 모델을 제시했다. 이 모델은 지방유래 SVF(기질혈관분획) 시술을 중심에 두고 있으며, 환자 자신의 지방에서 세포를 바로 추출해 사용하는 방식이다.여기에는 중간엽 줄기세포를 포함한 재생 유도 세포와 성장인자가 함께 포함돼, 피부 탄력 개선, 전신 순환 개선, 두피 환경 조절 등 다양한 적용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시술에 활용되는 듀오셀 SVF 추출 시스템은 완전 밀폐형 구조와 이중 필터링 기능을 갖춘 의료기기로, 세포 손실을 줄이고 안정성을 높인 것이 특징이다.김화평 바우스의원 대표원장은 “Bet
우리은행이 기술보증기금과 손잡고 중소기업의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협력에 나섰다. 양 기관은 인공지능(AI) 기반 기술평가 플랫폼을 활용해 기술력과 성장성이 높은 기업을 조기에 발굴하고, 생산적 금융 전환을 본격 추진한다.우리은행은 기술보증기금과 ‘생산적 금융 활성화를 위한 K-TOP 추천 금융지원’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오늘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두 기관은 기술력 있는 중소기업의 원활한 자금 조달을 지원하고, 산업 전반의 생산성을 높이는 데 협력할 예정이다.기술보증기금의 ‘K-TOP’은 AI 기반 기술평가 서비스를 탑재한 개방형 플랫폼으로, 기업의 기술력과 사업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한 데이터를 은행과 공공기관이
대한항공이 미국의 도심항공교통(AAM) 선도 기업 아처 에비에이션(Archer Aviation, 이하 아처)과 미래 항공 모빌리티(AAM) 기술 공동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도심항공교통 분야에서 글로벌 협력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대한항공은 전날 오후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서울 국제 항공우주 및 방위산업 전시회(ADEX) 2025’ 행사장에서 MOU 서명식을 진행했다고 오늘 밝혔다. 행사에는 임진규 대한항공 항공우주사업본부장과 애덤 골드스타인(Adam Goldstein) 아처 최고경영자(CEO) 등 양사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했다.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아처의 유인 전기수직이착륙기(eVTOL) ‘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이 단일공(싱글포트) 로봇수술기 ‘다빈치 SP’를 새롭게 도입하며, 기존 보유 중인 다빈치 Xi와 함께 두 대의 로봇수술기를 운영하게 됐다고 밝혔다. 이번 장비 확충으로 로봇수술 적용 범위를 일부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다빈치 SP는 하나의 절개창을 통해 수술 기구와 카메라를 동시에 삽입하는 장비로, 배꼽 주변 2.5cm 이내의 절개로 수술이 가능하다. 고해상도 3D 영상과 다관절 로봇팔을 활용해 비교적 정밀한 조작이 가능하며, 환자 부담을 줄이는 데 일부 기여할 수 있다.부산백병원 로봇수술센터는 현재 간담췌, 갑상선, 대장항문, 비뇨기, 산부인과 등 다양한 진료과에서 로봇수술을 시행 중이다. 이번
한림대학교강남성심병원이 4세대 단일공 로봇수술기 ‘다빈치SP’를 새로 도입해 기존 다빈치Xi 2대와 함께 총 3대의 로봇수술기를 운영한다고 밝혔다.이번 도입으로 자궁암, 전립선암 등 주요 암 수술에서 최소 침습 수술이 가능해져 환자의 회복 기간 단축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로봇수술센터는 2007년 다빈치Si를 처음 도입한 이후 2025년 현재 누적 수술 3000례 이상을 기록했다. 산부인과, 비뇨의학과, 외과, 이비인후과 등 여러 진료과에서 로봇수술을 시행하고 있다.다빈치SP는 2.5cm 단일 절개창을 통해 고해상도 카메라와 수술 기구가 동시에 진입하며, 좁은 부위도 정밀하게 수술할 수 있다. 절개 부위가 작아 통증과 흉터를 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