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11 09:00
눈이 따갑고 뻑뻑한 느낌이 오래 지속돼 안과를 찾은 환자들이 “눈 안에 돌이 생겼다”는 진단에 깜짝 놀라는 경우가 적지 않다. 이는 바로 ‘결막결석’이라는 질환 때문이다. 최근 결막결석 환자가 늘어나면서, 단순한 피로나 건조 증상으로 여기기 쉬운 이 질환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결막결석은 눈의 결막, 즉 흰자와 눈꺼풀 안쪽을 덮고 있는 얇은 조직에 아주 작고 단단한 결석이 생기는 질환이다. 겉으로 보기에는 확인이 어렵지만, 눈 안에 이물감과 따가운 통증을 유발하며, 때로는 눈을 깜빡일 때마다 거슬리는 느낌이 나타난다. 문제는 증상이 안구건조증과 매우 흡사하다는 점이다.권상민 정근안과병원 원장은 “결막결석은 눈물이2025.03.25 12:54
안구 표면에 날개 모양으로 자라나는 '익상편(군날개)'은 각막 표면으로 섬유혈관이 증식하는 질환이다. 이 질환은 눈이 충혈되는 미관상 문제를 넘어서 각막의 변형으로 난시를 유발해 시력이 저하될 뿐 아니라, ‘안구건조증’과도 연관성이 있다는 연구가 있으나 아직까진 이에 대한 명확한 결론은 내려지지 않은 상태다.이러한 가운데 김경우 중앙대학교병원 안과 교수 연구팀(책임저자 김경우 교수, 주저자 하동희 석사)이 익상편의 형태적 특징이 안구건조증의 임상 지표와 밀접하게 연관돼 있음을 새롭게 밝혀낸 연구논문(Impact of pterygium morphological profiles on dry eye parameters)을 발표해 주목받고 있다는 소식이다.병원에 따2025.02.24 11:27
안구건조증은 눈이 충분한 수분을 유지하지 못할 때 발생하는 상태다. 인공눈물 없이는 눈이 너무 뻑뻑해 일상생활이 어려운 사람들은 대부분 안구건조증이 만성으로 진행된 상태이기 쉽다. 특히 찬바람을 맞을 때 눈에서 눈물이 나는 경우가 있다. 이 또한 안구건조증 환자가 겪는 대표적 증상이다.안구건조증은 눈물이 부족해서 생기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왜 눈물이 많이 흐르는 것인지 의문점을 가질 수 있다. 안구건조증 환자에게 찬바람은 눈 표면을 자극해 반사적으로 눈물을 과도하게 분비하는 현상을 유발한다. 공기가 차고 건조한 겨울은 덥고 습한 여름보다 눈 표면이 건조해지기 쉬워 눈물 흘림증이 더 심해질 수 있다. 즉 찬바람을2025.01.13 14:44
겨울철 대표 안질환 중 하나인 눈물흘림증은 심각한 질환이 아니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원인에 따라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유루증이라고 불리는 눈물흘림증의 원인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안구 겉 표면에 과한 자극이 생겨 눈물이 평소보다 많이 분비되거나 다른 하나는 눈물 배출기관이 폐쇄되는 경우다.우선 눈물 과다 분비의 경우 속눈썹 찔림, 알레르기 눈꺼풀 염증 등 반사적 눈물 흘림이 원인으로 발생된다. 반사적 눈물 흘림이란 눈의 윤활작용을 하는 기초 눈물이 적은 건성안 환자가 외부 자극에 눈이 노출되면 반사적으로 눈물이 생성되는 것을 의미한다.여기서 속눈썹 찔림은 크게 눈꺼풀 위치의 문제와 속눈썹2024.12.22 09:15
안구 건조증은 단순한 건조감을 넘어 치료가 필요한 병태로 간주된다. 최근에는 빛 에너지를 활용한 'IPL(Intense Pulsed Light) 치료'가 효과적인 방법으로 주목받고 있다.전문가들에 따르면, 안구 건조증은 눈물층의 균형이 깨지면서 발생한다. 눈물은 99%의 물(액층)과 1%의 기름(유층)으로 구성되는데, 기름 부족이 원인이 되는 '증발 항진형'이 전체 안구 건조증의 86% 이상을 차지한다. 기름은 눈꺼풀의 '마이봄샘'에서 분비되며, 마이봄샘 기능 부전이 안구 건조증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된다. 이로 인해 까끌까끌한 이물감, 눈의 피로, 통증, 작열감, 충혈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안구 건조증 치료는 주로 점안약을 사용하며,2024.11.05 09:00
찬바람이 불고 건조한 날씨에는 안구건조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늘어난다. 안구건조증으로 불리는 건성안은 눈물의 양이 부족하거나 눈물의 질이 좋지 않아 눈물이 빠르게 증발하면서 발생한다. 각막 표면에 위치한 세 가지 층인 점액층, 수성층, 지방층의 균형이 무너졌을 때도 안구건조증이 생길 수 있다. 안구건조증은 이물감, 작열감, 눈 시림, 시력저하, 가려움, 눈부심, 충혈 등의 증상을 동반하는 흔한 질환이다. 이를 대수롭지 않게 여기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시력 저하나 각막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적절한 치료와 관리가 필요하다. 안구건조증의 원인으로는 노화,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 전자기2024.10.02 09:36
본격적인 가을철 날씨가 시작되면서 안구건조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안구건조증은 눈물의 분비량이 부족하거나, 눈물막을 구성하는 성분의 변화로 인해 눈물이 과도하게 증발하면서 발생하는 안과 질환이다. 이로 인해 눈이 뻑뻑해지고 시리거나, 마치 눈에 모래가 들어간 듯한 이물감을 느끼는 등 다양한 불편 증상이 나타난다. 단순한 건조감으로 여길 수 있는 질환이지만, 방치할 경우 시력 저하나 각막염 등의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대표 원인은 '마이봄샘 기능 저하'... 심하면 각막 손상되기도가톨릭대학교 의정부성모병원 안과 권혜지 교수에 따르면, 안구건조증의 원인은 다양하며, 그중2024.09.13 11:10
웃음 치료가 안구건조증 증상을 완화하는 데도 안약만큼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중국 쑨원대 중산안과센터 량링이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13일 의학 학술지 브리티시 메디컬 저널(BMJ)에서 안구건조증 환자 280여 명을 웃음 운동 그룹과 안약 투여그룹으로 나눠 8주간 진행한 임상시험에서 웃음 운동이 안약과 비슷하거나 더 우수한 치료 효과를 보였다고 밝혔다.안구건조증(DED)은 세계적으로 3억6천여만 명이 앓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만성 질환으로 일반적으로 눈이 불편하고, 충혈되고, 따갑고, 자극적인 증상이 있다.그간 웃음 치료는 우울증, 불안, 스트레스, 만성 통증 완화와 면역 기능 강화 효과 등으로 다양한 만성질2024.08.13 10:43
여름 휴가철이 한창인 요즘, 물놀이를 다녀온 후 눈이 불편해져 병원을 찾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휴가철 워터파크, 계곡, 해수욕장 등 사람들이 붐비는 곳을 방문한 후 감염성 질환에 걸리는 수가 있는데, 눈도 예외가 아니기 때문이다. 여름철 물놀이 후 눈이 충혈되고 가렵거나 따가우며, 눈곱이 자꾸 끼고 눈에 돌이 들어간 듯 이물감이 느껴지는 증상은 유행성 각결막염의 대표적인 증상으로, 치료를 잘 받으면 1-2주 내에는 좋아진다. 그러나 각막혼탁이나 결막유착 등의 합병증이 드물게 있을 수 있어 반드시 진료 및 치료가 필요하다.양쪽 눈이 동시에 충혈되는 알레르기 결막염과 달리 유행성 각결막염은 접촉에 의한 아데노바이러스 감2024.08.06 09:00
직장인 권 씨(35세, 남성)는 눈이 뻑뻑하고 눈물이 흘러 안과를 방문했다. 예전부터 시작된 안구건조증이 심해졌기 때문이다. 안구건조증으로 알려진 건성안은 안구 내 눈물이 부족하거나 지나치게 증발해 눈물 구성성분의 균형이 맞지 않아 발생하는 안질환이다. 건성안이 생기면 눈이 건조해지고 뻑뻑함을 느끼게 되며 작열감, 가려움, 눈부심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심한 경우 눈이 시리거나 통증이 느껴지는 등 일상생활에 불편함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러한 안구건조증은 황사, 꽃가루가 심한 봄철에 많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여름철에도 안구건조증으로 인한 불편함을 호소하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무더운 날2024.07.01 16:56
안구건조증은 현대인들에게 익숙하다. 그러나 장기간 이어지는 안구건조증은 삶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 헬스라인(Healthline)에서 안구건조증 개선 시 도움을 줄 수 있는 15가지 방법을 소개해 눈길을 끈다.1. 일반의약품 안약 사용일반의약품 안약은 건조한 눈에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는 쉬운 방법이다. 다만 자극을 줄이기 위해 방부제가 없는 제품을 선택하는 게 좋다.2. 온찜질하기2023년에 발표된 한 연구에 따르면 따뜻한 찜질을 하면 눈에 수분을 공급하고 눈물을 생성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3. 전자기기 사용 시간 제한하기전자기기 앞에서 보내는 시간이 증가할 수록 안구건조증 위험이 커진다. 가급적 사용 시...2024.05.14 14:41
봄만 되면 눈이 유독 시리고 빡빡해 눈을 제대로 뜨기 어려운 사람들이 늘어난다. 건조한 공기와 바람 때문에 눈물이 쉽게 증발하여 안구건조증이 악화되는 탓이다.안구건조증은 현대인에게 매우 익숙한 안질환이다. 항상 안구 표면을 촉촉하게 덮고 있는 눈물층이 여러 원인으로 인해 쉽게 증발하고 사라지며 눈의 통증과 불편함을 유발한다. 마치 모래알이 들어간 것처럼 눈이 아파 눈을 뜨기 어렵고 쉽게 피로해지거나 충혈된다. 앞에서 바람이 불어오면 눈물이 줄줄 흐르기도 하며 증상이 심한 경우 두통을 호소하거나 안구 표면이 손상되어 시력이 저하되기도 한다.안구건조증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눈물 분비량 자체가 저하되거나 눈물의...2024.05.07 11:46
한올바이오파마(공동대표 정승원, 박수진)가 안구건조증 치료제 'HL036 (물질명 탄파너셉트)'의 세 번째 임상 3상 (VELOS-4)을 시작했다고 밝혔다.이번 임상은 탄파너셉트의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으로, 미국 내 60개 안과병원에서 750 명의 안구건조증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시험에 참가한 환자들은 세 그룹으로 나뉘어 매일 2회씩 12주간 시험약 (vehicle)과 대조약 (탄파너셉트 0.25%, 1.0%)을 투약한 후 베이스라인 8주 대비 눈물 분비량 개선을 확인할 계획이라는 회사측의 설명이다.주 평가지표는 앞선 미국 VELOS-3 임상 3상 시험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던 셔머테스트 (Schirmer Test)다. 셔머테스트는 안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