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투케이바이오는 제주 유래 미생물을 활용한 비건 화장품 원료 개발을 목표로 ‘스킨바이오틱스 비건 화장품 개발’ 국책과제를 수행 중이라고 3일 밝혔다.해당 과제는 중소벤처기업부 주관으로 라피끄,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과 공동 진행된다. 제주는 다양한 미생물 자원이 풍부한 지역으로, 이번 과제를 통해 미생물의 항산화·항염·보습 효능을 검증하고 친환경 비건 화장품 원료로 상용화하는 것이 핵심이다.제이투케이바이오는 미생물 분리 및 효능 평가 외에도, 고기능성 화장품 소재 개발과 지식재산권 확보, 글로벌 시장 조사 등을 병행하고 있다. 기능성과 안전성을 입증한 원료로 소비자 신뢰 확보에 집중할 계획이다.회사 관계자
코젠바이오텍은 최근 서울 삼정호텔에서 열린 ‘대한임상미생물학회 제28차 학술대회’에 참가해 최신 호흡기 바이러스 및 세균 진단 솔루션을 소개했다고 3일 밝혔다.이번 학술대회는 ‘Advances in Clinical Microbiology: From Culture to Whole Genome Sequencing’을 주제로, 임상 진단 기술과 감염병 대응 전략 등을 논의하는 자리였다.코젠바이오텍은 전시 부스를 통해 올가을 출시 예정인 ‘PowerChek™ Respiratory Virus Panel 1~4’와 ‘PowerChek™ Bacterial Pneumonia Real-time PCR Kit Ⅰ, Ⅱ’를 선보였다.‘Respiratory Virus Panel’ 제품은 코로나19, 인플루엔자, 아데노바이러스 등 주요 바이러스 12종을 약 90분 내 동시 진
K-메디컬 코스메디컬 브랜드 EXOBIO(엑소바이오)가 서울 강남 소재 피부과 전문 DM피부과와 손잡고 일본 현지 메디컬 뷰티 시장 공략에 본격 나선다고 밝혔다. EXOBIO는 엑소좀(Exosome)과 PDRN(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을 핵심 원료로 한 고기능성 앰플 브랜드로, 피부과 처방 수준의 성분과 과학적 진단 기반 솔루션을 제공하는 차세대 K-뷰티 브랜드다. 양측의 이번 협업은 단순한 유통 제휴를 넘어, 의료진의 시술 노하우와 바이오 기술의 융합을 기반으로 한 ‘진짜 메디컬 뷰티’ 솔루션을 목표로 한다는 것이 업체 설명이다. DM피부과는 최근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이 선정한 KAHF 외국인 환자 유치 우수기관으로 인증 받
바이오 기술 기업 옵트바이오(OptBio)가 미국 스포츠 브랜드 INOS 본사와 공동 개발한 헬스 솔루션 ‘Dr. Fitz(닥터 피츠)’를 미국 시장에 처음 공개했다.Dr. Fitz는 운동 전·중·후 체내 리듬과 회복력을 고려해 설계된 스포츠 컨디셔닝 제품으로, 고강도 운동은 물론 일상 속 체력 관리를 중시하는 소비자층을 겨냥한 프리미엄 웰니스 솔루션이다.이번 제품은 INOS의 스포츠 퍼포먼스 철학과 옵트바이오의 바이오 기술을 접목한 결과로, 미국 시장을 시작점으로 글로벌 진출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미국은 기능성 웰니스 제품에 대한 소비자 요구와 검증 기준이 까다로운 시장으로, 두 기업은 이를 통해 제품 신뢰도를 확보하고 한국, 일본, 유
퍼스트바이오테라퓨틱스(이하 퍼스트바이오)가 2025년 중소벤처기업부 ‘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에 2년 연속 선정됐다고 밝혔다. 지난해 1단계 프로그램에 이어 올해는 우수 졸업기업 대상 2단계에 참여하며 AI 기반 신약개발 역량 강화와 글로벌 진출을 가속화한다.글로벌 기업 협업 프로그램은 다쏘시스템, 엔비디아, 마이크로소프트 등 세계 유수 기업과 국내 스타트업의 협력을 지원하는 대표적 민관 협력 사업이다. 2019년 시작된 이래, 올해부터는 성과가 뛰어난 졸업기업을 위한 2단계 프로그램이 신설됐다.퍼스트바이오는 지난해 다쏘시스템과 1단계 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글로벌 협력 우수기업으로 인정받았다. 올해는 다쏘시
와이바이오로직스가 PD-(L)1 면역항암제 한계를 극복할 차세대 면역항암제 개발에 박차를 가한다.항체신약 전문기업 와이바이오로직스는 독자 기술로 개발 중인 다중항체-사이토카인 융합체(Multi-AbKine) 제조기술이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의 2025년 바이오헬스 연구개발사업 ‘바이오 특화단지 지원과제’에 선정돼 향후 4년 6개월간 총 58억 원의 지원을 받게 됐다고 2일 밝혔다.이번 과제는 PD-1을 포함한 두 개 면역관문을 동시에 차단하는 이중항체에 면역 활성화 사이토카인을 결합한 혁신 물질 제조기술 개발이 핵심이다. 와이바이오로직스 본사와 연구소가 위치한 대전 유성구는 2025년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쎌바이오텍이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HNC 2025’에서 ‘듀오락 CBT 유산균’이 만성콩팥병(CKD) 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임상 결과를 발표했다고 밝혔다. 장내 환경이 신장 건강에 영향을 준다는 ‘장-신장 축(Gut-Kidney Axis)’ 이론에 과학적 근거를 더한 연구다.이번 임상은 세르비아 즈베즈다라 대학병원에서 진행됐으며, 투석 전 단계 CKD 환자 34명을 대상으로 12주간 CBT 유산균을 섭취하게 한 무작위·이중맹검 방식으로 실시됐다. 시험군은 사구체여과율(GFR) 12.5% 증가, 요독소(Indoxyl Sulfate) 21.5% 감소, 염증 지표(hsCRP)는 39.5% 감소하며 위약군 대비 유의미한 개선 효과를 보였다.장내 유익균도 증가했으며, 쎌바이오텍
일반의약품·건강기능식품 CDMO 전문기업 알피바이오(314140)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유산균과 기능성 오일을 결합한 장용성 연질캡슐(제품명: 듀오메가 프로)에 대한 국내 특허를 획득했다고 2일 밝혔다.이번 특허는 고함량 식용 오일과 열에 약한 유산균을 하나의 캡슐에 담으면서도, 실온(1~35℃)에서 18개월간 유산균 생존을 유지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기존 연질캡슐의 유산균 안정성 한계를 극복했다는 평가다.해당 제형은 락토바실러스, 비피도박테리움 등 다양한 열 민감성 유산균을 포함하고 있으며, 알피바이오가 자체 개발한 저온혼합 공정과 공기차단 기술로 열 안정성을 확보했다. 또한 장용성 연질캡슐 구조를 통해 위산을 통과해
이중항체 전문기업 에이비엘바이오는 파트너사 아이맵(I-Mab)과 함께 위암 표적 이중항체 ‘ABL111(지바스토믹)’의 단독요법 임상 데이터를 국제 학술지 Clinical Cancer Research에 게재했다고 2일 밝혔다.ABL111은 Claudin18.2와 4-1BB를 동시에 타깃하는 이중항체로, 위식도암 환자 43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 1상 결과 객관적 반응률(ORR)은 18%(8/45), 질병 통제율(DCR)은 49%(21/43)로 나타났다. 이상반응은 대부분 경미한 수준이었으며, Claudin18.2 발현율이 낮은 환자에서도 치료 반응을 보였다.ABL111은 현재 면역항암제 니볼루맙, 화학항암제와 병용한 임상 1b상도 진행 중이며, 위암의 1차 치료제로 개발되고 있다. 이번 연구는 독성을
다림바이오텍은 갑상선 호르몬제 ‘씬지록신정’(레보티록신나트륨수화물)에 112㎍, 137㎍ 용량을 새롭게 출시했다고 1일 밝혔다. 이로써 총 9종의 제품 라인업을 갖추며 국내 최다 용량 체계를 구축하게 됐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신규 용량은 기존 25~150㎍까지 7종 제품에 더해진 것으로, 환자 맞춤 처방의 정밀도를 높이고 의료진의 선택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실제 레보티록신 제제는 환자의 체중, 나이, 기저질환 등에 따라 섬세한 용량 조절이 필요해 세분화된 제형이 중요하다.다림바이오텍은 국내 레보티록신 시장에서 약 43%의 점유율을 기록 중인 ‘씬지록신정’의 처방 기반을 한층 강화하고, 복약 순응도와 치료 효율
파로스아이바이오는 급성 골수성 백혈병(AML) 치료제 후보물질 PHI-101의 글로벌 임상 1상 최종 결과보고서(CSR)를 확보했다고 1일 밝혔다. AI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에서 도출한 국내 첫 임상 진입 사례라는 회사측의 설명이다.이번 임상은 한국과 호주에서 재발·불응성 AML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PHI-101은 최고 용량에서도 용량제한독성이 발생하지 않아 우수한 안전성과 내약성을 보였으며, 활력징후 변화나 심각한 심장 독성도 나타나지 않았다.효능 지표에서도 의미 있는 결과가 도출됐다. 평가 가능한 환자의 50%가 종합완전관해(CR/CRi/MLFS)를 기록했고, 객관적 반응률(ORR)은 67%로 나타났다. 특히 기존 치료
동구바이오제약은 바이오 벤처 베름(Bereum)과 5세대 유산균 기반 건강기능식품 및 메디컬푸드 제품을 공동 개발하고, 국내외 유통 확대를 위한 전략적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양사는 기술과 사업 역량을 결합해 차세대 유산균 시장을 선도할 계획이다.동구바이오제약은 프로바이오틱스 제제 ‘벤투룩스’에 베름의 특허 유산균 사균체(EF-2001)를 접목한 복합 기능성 제품을 연구 중이다. 장 건강, 면역, 항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이번 협력으로 동구바이오제약은 신제품의 국내 홈쇼핑 판권을 확보하고,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판매와 프로모션을 진행한다. 또한, 베름의 기존 제품 리포뮬레이션과 국내 판매권도 확보해 유통 영역을 확대한
압타바이오는 면역항암제 후보물질 ‘APX-343A’가 지난 29일 미국 FDA로부터 희귀의약품(Orphan Drug Designation)으로 지정됐다고 30일 밝혔다.이번 지정으로 ‘APX-343A’는 암 관련 섬유아세포(CAF)를 표적하는 면역항암제로서 혁신성과 잠재력을 공식 인정받았다. 이에 따라 시판 후 7년간 시장 독점권, FDA 심사비 면제, 임상 보조금 지원, 임상 비용 최대 25% 세액 공제 등 다양한 혜택을 받을 수 있어 미국 내 신속한 개발과 허가가 가능해졌다.‘APX-343A’는 면역관문억제제 효능 저하 및 내성에 관여하는 CAF를 직접 겨냥하는 차세대 면역항암제로, 전임상에서 단독 및 PD-1 억제제(키트루다, 옵디보 등) 병용 시 종양 크기 감소 효과
NGS 기반 정밀진단 기업 엔젠바이오(354200)는 자사 RNA 진단 제품의 유전자 융합 변이 분석 알고리즘이 싱가포르에서 특허(등록번호 11202001186X)를 획득했다고 30일 밝혔다.회사에 따르면 이 기술은 암 환자의 유전자 융합 변이를 기존 검사법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찾아낸다. 기존 FISH, Real-Time PCR은 일부 유전자만 검사 가능하지만, 이 알고리즘은 여러 유전자를 동시에 분석하며 기존 방식으로는 검출하지 못한 변이도 잡아낸다.유전자 융합은 암 발생 주요 원인 중 하나로, ALK, ROS1, NTRK, BCR-ABL 등 다양한 융합 유전자가 항암제 개발 대상이다. 엔젠바이오 알고리즘은 더 많은 변이를 검출하고 오진율을 낮춰 임상 진단 신뢰도를
GC녹십자는 지난 25일 경기도 용인 본사 R&D센터에서 고용노동부 중부지방고용노동청이 주최하는 ‘2025 바이오사 안전보건포럼’을 성공적으로 개최했다고 밝혔다.이번 포럼에는 GC녹십자를 비롯해 삼성바이오로직스, 셀트리온, SK바이오사이언스, 에스티젠바이오, 영사이언스, 한국백신 등 국내 대표 바이오 기업 7곳이 참여해 업계 안전보건 수준 향상을 위한 협력 의지를 다졌다.포럼에서는 바이오 업계에서 발생한 주요 사고 사례와 개선 방안을 공유하며 안전사고 예방에 대한 실질적인 노하우가 집중 논의됐다. 또한, 최신 안전보건 기술과 스마트 관리기법이 소개돼 현장 중심의 안전관리 체계를 한층 강화하는 방안에 대한 열띤 토론이
재생의료 기업 티앤알바이오팹(246710)은 3D 프린팅 기술로 제작한 두개골재생용 임플란트 ‘TnR CFI’의 미국 FDA ‘Class II’ 품목허가 신청을 26일 완료했다고 밝혔다. ‘510K’ 절차를 통해 약 6개월 후 승인이 예상된다.이 제품은 생분해성 폴리카프로락톤(PCL)과 베타-제3인산칼슘으로 구성된 다공성 3차원 구조체로, 뇌종양, 뇌출혈, 뇌동맥류 수술 후 두개골 결손 부위를 채워 자가골 재생을 돕는다. 2021년 국내 허가 이후 비브라운코리아를 통해 1만7000명 이상에게 시술됐으며, 안전성과 유효성을 인정받았다.회사 측은 약 2년간 체외 성능시험과 동물 장기 이식 시험 등 철저한 안전성 평가를 마쳤다며, FDA 허가 후 미국을 포함해
파로스아이바이오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난치성 고형암 치료제 ‘PHI-501’ 임상 1상 시험계획(IND)을 승인받았다고 26일 밝혔다.이번 임상에서 PHI-501의 안전성, 내약성 및 초기 효능을 평가하며, 기존 치료제 한계를 극복할 혁신 신약 가능성을 확인해 40조 원 규모의 고부가가치 항암제 시장 진출을 가속화할 계획이다.파로스아이바이오는 국내 임상시험수탁기관 씨엔알리서치와 임상 수행 계약을 맺었고, 글로벌 유전체 분석 기업 마크로젠과 협력해 순환종양핵산 분석 기술로 임상 정확도를 높인다.PHI-501은 pan-RAF 및 DDR 이중 저해제로, 기존 BRAF 저해제의 주요 부작용과 교차저항성을 극복했으며, BRAF, KRAS, NRAS 변이 고형암
쎌바이오텍이 2025년 상반기 고객 구매 데이터를 기반으로 ‘듀오락 베스트 어워즈’ 기획전을 실시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다음달 22일까지 듀오락 공식몰에서 진행된다.할인 대상은 상반기 판매 순위 상위 제품들로, ‘듀오락 골드 캡슐’, ‘듀오락 골드 하루 한 포’, ‘듀오락 바이오 가드’ 등이다. 여름철 수요가 높은 ‘듀오락 스탑’과 프리미엄 제품인 ‘더 퍼스트 클래스’, 임산부용, ‘맘스’ 제품도 포함된다. 영유아 및 어린이용 제품으로는 ‘유기농 베이비’, ‘얌얌’, ‘얌얌플러스’ 등이 할인 혹은 증정 혜택과 함께 제공된다.신규 고객 대상 체험팩 ‘여행든든팩’, ‘맘&키즈팩’은 최대 74% 할인되며, ‘듀오랩
티움바이오(321550)는 오는 29일부터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2025 유럽생식의학회(ESHRE)’에서 자사의 자궁내막증·자궁근종 치료제 후보물질 ‘메리골릭스(Merigolix, TU2670)’의 임상 성과를 발표한다고 밝혔다.메리골릭스는 두 적응증 모두에서 임상 2상을 성공적으로 마쳤으며, 이번 학회에서는 자궁내막증 유럽 임상 2a상의 주요 결과가 소개된다. 발표는 해당 임상을 주도한 크시슈토프 쉬마노프스키 폴란드 박사가 맡는다.임상 결과, 메리골릭스는 고용량군에서 용량 의존적인 치료 효과를 보였으며, 비월경기 골반통(NMPP) 개선, 헤모글로빈 수치 증가, 자궁근종 크기 감소 등 2차 지표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전반적인 안
압타바이오가 지난 16일부터 19일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열린 ‘BIO USA 2025’에 참가해 주요 파이프라인을 소개하고 글로벌 제약사들과 기술이전 및 공동개발을 위한 1:1 파트너링 미팅을 진행했다고 25일 밝혔다.‘BIO USA’는 미국생명공학협회(BIO)가 주최하는 세계적 바이오 파트너링 행사다.압타바이오는 이번 행사에서 주요 파이프라인인 pan-NOX 억제 기전의 당뇨병성 신장질환 치료제 ‘아이수지낙시브(APX-115)’, Non-VEGF 기전의 경구용 황반변성 치료제 ‘ABF-101’, 압타머-약물 접합 플랫폼 기반 혈액암 치료제 ‘Apta-16’ 등을 중심으로 전략적 협력 가능성을 논의했다.‘아이수지낙시브’는 국내에서 DKD 적응증으로 임상 2b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