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첫 번째 강의인 ‘Clinical Experience of FUS in Gynecologic Disease (부인과적 질환에서의 집속초음파 치료 임상 경험)’에서는 자궁근종 및 자궁선근증에서의 하이푸 치료에 대한 치료기법, 치료 결과, 치료 후 임신 가능성, 발생 가능한 합병증 등의 임상 정보를 공유하고 미래 잠재적 적응증인 심부침윤성내막증에 대한 하이푸 치료 개념을 소개했다.
두 번째 강의 ‘Intervention of Uterine Myoma: HIFU and Other Modalities (자궁근종의 인터벤션 치료: 하이푸 및 다른 기법)’는 자궁근종에 대한 새로운 치료법인 하이푸의 치료 원리 및 방법, 치료 후 영상 변화 등의 치료 결과를 공유하고, 자궁근종 환자에 대한 다학제진료의 치료 전략 및 임상 경험을 공유했다.
김영선 원장은 “하이푸는 자궁근종, 자궁선근증에 대한 잠재력이 매우 큰 치료법으로, 적응증이 있는 질환에 대해 수술을 대체할 수 있는 치료 효과와 빠른 회복이 장점”이라며 “다양한 치료방 법을 고려한 다학제진료를 통해 각 치료의 한계점을 극복하고 최적의 자궁보존 치료를 실현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