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환자 및 사망자도 최고치, 다음주 5천명대도 예측 … ‘늦었다’는 전문가들 지적에도 정부는 카드만 만지작

24일 중앙방역대책본부는 0시 기준 국내 발생 신규 확진자는 4,088명, 해외유입 사례는 28명이 확인되어 신규 확진자는 총 4,116명이며, 총 누적 확진자 수는 425,065명이라고 밝혔다. 국내 신규확진자 수가 4천명대를 돌파한 것은 코로나19 발생 이후 처음이다.
지역별 신규감염자수는 지역별로 보면 서울 1730명, 경기 1184명, 인천 221명으로 수도권이 76.7%(3135명)다. 부산 118명, 대구 78명, 광주 45명, 대전 51명, 울산 11명, 세종 7명, 강원 62명, 충북 40명, 충남 291명, 전북 34명, 전남 52명, 경북 65명, 경남 87명, 제주 22명이다.

원인으로는 이달 1일 위드코로나 정책을 시행한 이후 확진자 폭증이 지목된다. 확진자 수가 늘어나는 만큼 중증환자와 병상가동률이 올라가면서,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사망하는 이들이 늘어났다는 것.
이에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위중증환자 치료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지금까지 코로나19의 위증증환자율이 2%를 기록했는데 현재 이를 훨씬 뛰어넘고 있다”며 “가동할 수 있는 병상이 부족해 환자들이 제때 치료받지 못하고 집에서 대기하다가 중증으로 넘어가거나, 사망으로 이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가급적 재택 치료를 줄이고, 생활치료시설에서 군의관 등 활용할 수 있는 의료인력이 증상을 관찰하고 항체치료 등을 할 수 있도록 대응순서를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교수 역시 “환자가 늘어 병상이 고갈되는 것이 큰 문제”라며 “의료 자원 확보를 위해서라도 방역 정책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무엇보다 지금의 위드코로나 정책에 대한 수정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모았다. 특히 모임이 많은 연말을 앞두고 있어, 이대로는 감염자의 폭증을 막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천은미 교수는 “일주일새 3천명대에서 4천명대로 늘었고, 다음주에는 5천명대까지도 늘 수 있다”며 “수도권만이라도 방역을 강화하는 등의 비상대응책을 시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재갑 교수도 “의료 자원의 확보를 위해서라도 정책의 재조정이 필요하다”며 “지금이라도 모임을 제한하는 등의 방역을 강화해야 겨울철 환자 폭증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같은 비상대책이 적어도 2주 전에는 시행됐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이 같은 전문가들의 목소리에도 방역당국은 아직 병상 확충과 고위험군 추가접종에 집중하며 위드코로나를 지속하겠다는 입장이다. 손영래 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정레브리핑에서 “다시 거리 두기를 강화하는 ‘비상계획’ 을 조치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지는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당국으로서는 연말 대목을 앞두고 이제 막 숨통이 트인 중소상인들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다는 해석이다.
하지만 이번 주 동안 이 같은 확진자 증가세가 지속될 경우 필연적으로 위드코로나 정책을 조정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손연래 반장은 “엄중한 상황이 계속된다면 어느 정도 방역조치를 강화시키는 부분 혹은 비상계획까지도 염두에 두고 내부적으로 검토를 해야 한다는 의견들이 있다”고 말했다.
김지예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