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퇴행성관절염은 시큰거리고, 붓고, 열이나는 등의 증상을 동반한다. 처음에는 관절을 움직일 때 심해지는 양상을 보이다가 점차 움직임과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통증이 나타나는 게 특징이다. 또 관절 운동시 마찰음이 느껴지거나,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쪼그려 앉았다 일어날 때 통증이 더욱 심해진다. 연골에는 통증을 느끼는 세포가 없어 연골이 거의 닳아 없어질 때까지 증상을 깨닫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 같은 증상은 서서히 진행될 뿐 아니라 좋아졌다 나빠지는 간헐적인 경과를 보이기 때문에 단순 근육통으로 생각하고 방치, 병을 키우는 사례가 많다. 때문에 증상이 의심된다면 지체하지 않고 병원에 내원해야 한다.
만약 퇴행성관절염 초기라면 약물치료 주사치료 등 적절한 보존적 치료를 진행할 경우 병의 진행을 가능한 한 늦출 수 있다. 하지만 이미 상태가 심각한 경우에는 인공관절 치환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이는 손상된 연골 부위가 너무 커 이를 모두 인공관절로 대체하는 ‘인공관절 전치환술’, 체중이 부하되는 무릎 안쪽과 같은 한쪽의 연골이 마모된 곳을 선택적으로 수술하는 ‘인공관절 부분치환술’ 등을 선택할 수 있다. 이 밖에도 교정 절골술, 줄기세포치료술 등이 있다. 이러한 치료를 진행했을 경우 꾸준한 재활운동을 통해 효과를 높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퇴행성관절염은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건강한 노후를 위해 평소 관절에 무리가 가는 행동을 삼가고, 적정 체중을 유지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좌식생활, 쪼그리고 앉는 습관 등 무릎에 좋지 않은 자세를 바르게 교정하는 것도 무릎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임혜정 기자
press@hi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