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응증에 벗어난 수술 시, 조산 위험 최대 17.9배, 출생아에 장기적으로 안 좋은 영향
※ 고위험 산모와 태아 진료에 헌신한 공로를 인정받아 황조근정훈장 수상
* 임상적 가치평가(appraisal) : 연구의 주요 결과를 여러 이해관계자가 다각도로 검토하고 국민·환자의 관점에서 정리·배포하여 국민의 합리적인 의료서비스 선택을 지원하고자 수행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적응증에 따르면, 유산, 조산, 사산의 과거력이 없는 초임부의 경우에는 산부인과 진찰 시 양막이 육안으로 보이는 경우에만 자궁경부봉합술을 시행하며, 임신 16~24주에 수술하도록 진료지침에서 권장한다. 따라서, 첫 번째 임신에서 경부 길이가 짧은 경우, 출산 시 태아가 생존할 수 있는 임신 24주 이후의 경우는 자궁경부봉합술의 적응증이 되지 않는다.
오수영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자궁경부봉합수술을 받은 초임부(2백89만6271명)의 조산율이 수술을 받지 않은 산모(비수술군)보다 임상진료지침의 주요 권장 사항에서 벗어난 수술 시기인 임신 24주 이후 자궁경부봉합술이 시행된 경우, 비수술군에 비하여 조산율이 17.9배 증가했고, 출생아에게 자폐증,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뇌성마비가 발생할 위험이 각각 2.3배, 1.7배, 19.3배 증가했다. 그러나 자궁경부봉합술 적응증인 ‘유산, 조산, 또는 사산의 과거력이 없는’초임부가 임신 16주 이전에 수술을 한 경우도 비수술군에 비해 조산율이 3.2배 증가했다.
이에 대해 임상적 가치평가 회의에 참석한 전문가들은 적응증을 벗어난 자궁경부봉합술이 조산율 증가와 출생아 예후 악화와 연관될 수 있음을 지적하며, 정확한 정보 제공과 학회가 권장하는 적응증을 벗어난 자궁경부봉합수술을 자제하도록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중신 서울의대 산부인과 교수는 “이번 국가데이터 기반 연구는 자궁경부봉합수술의 장기적인 출생아의 경과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며, 우리나라에서 해당 수술이 권고사항에 따라 신중히 시행돼야 함을 시사하는 중요한 결과”라고 밝혔다.
임상적 가치평가 보고서는 환자중심 의료기술 최적화 연구사업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