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병호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교수팀 연구결과 발표

국내 연구팀이 폐암에서 종양이 생겼을 때 전이 위험이 높은 폐의 중심부가 어디인지를 규명함에 따라 폐암 치료가 더욱 정밀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정병호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교수팀(신선혜 임상강사·영상의학과 정동영 전공의)은 림프절 전이 위험이 높은 폐 중심부의 위치를 찾았다.

학계에서는 종양이 폐 중심부에 있을 경우 수술 전 전이를 확인하는 검사를 해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었지만, 폐 중심부가 어디인지 확실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연구팀은 2014년∼2015년 삼성서울병원에서 치료를 받은 비소세포폐암 환자 가운데 영상 검사 상에서 원격 전이가 발견되지 않았고, 림프절 전이도 없는 환자 1천337명을 대상으로 종양 발생 위치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환자들의 컴퓨터단층촬영(CT) 검사 영상에서 폐문 또는 몸의 정중선을 기준으로 3분의 1과 3분의 2지점을 지나는 곳에 동심원 형태의 가상선과 정중선에서 같은 위치에 시상면으로 나눈 선을 그은 후, 이 선들을 각각 폐의 중심부로 보고 이곳과 다른 곳 종양의 종격동 림프절 전이율을 분석했다.

종격동은 흉곽 중앙 폐 사이 공간으로 이곳에 전이가 있으면 암 병기가 3기 이상으로 뛰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 결과 최종검사에서 림프절 전이가 확진된 환자는 93명(7%)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암 발병 위치를 나머지 환자와 비교한 결과, 종격동 림프절 전이 위험이 가장 높은 곳은 몸 정중선을 기준으로 안쪽 면 3분의 1에 해당하는 지점으로 나타났다. 종양이 이 지점보다 안쪽에 있으면 다른 곳보다 종격동 림프절 전이 위험이 2.13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정 교수는 "이 연구는 실제 림프절 전이를 가장 잘 예측할 수 있는 중심부 종양의 정의를 밝힌 것"이라며 "폐 중심부에 생긴 암에 대한 정의가 명확해짐에 따라 환자 치료 방향에 대한 결정도 보다 정밀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유럽호흡기학회지'(European Respiratory Journal)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