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립아트코리아
클립아트코리아

부정맥은 심장박동의 이상을 뜻한다. 한자 뜻 그대로 정상이 아닌 맥이란 뜻. 심장은 체내에서 전기로 작동하는 기관이다. 정상적인 맥은 심장 내의 동방결절이라는 부분에서부터 분당 약 60회~100회의 빈도로 규칙적으로 전기가 발생되어 만들어지는데, 그렇지 않은 모든 비정상적인 맥박은 부정맥이라 통칭한다.

◎ About, 부정맥 증상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순환기내과 최영 교수는 “부정맥에는 크게 정상 맥박수보다 빨라지는 빈맥, 정상 맥박수보다 느려지는 서맥, 그리고 불규칙한 맥박을 나타내는 부정맥으로 나눌 수 있다”며 “각각의 종류별로 다양한 부정맥이 있고, 예후와 치료도 달라지게 된다”고 설명했다.

부정맥의 증상은 부정맥의 종류 별로 다르다. 빈맥이나 불규칙한 맥박을 나타내는 조기수축 등의 부정맥은 두근거림이나 가슴이 답답한 증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고, 서맥의 경우에는 어지러움이나 실신 등의 증상이 흔하다. 그러나 때로는 부정맥이 있어도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다.

특별한 심장 질환력 없이 가끔 가슴이 쿵하는 느낌이 들면서 맥이 건너뛰는 느낌이 든다면 심실 조기 수축이라는 부정맥일 가능성이 높다. 이것은 합병증의 위험도가 낮은 양호한 질환이다.

부정맥 중 심방세동은 뇌경색 및 심부전의 원인이 될 수 있는 위험한 질환인데, 초기에는 두근거림이나 호흡곤란 등의 증상이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 무증상인 경우도 많아 진단이 늦어지는 경우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그 외 부정맥 중 위험성이 높은 것에는 심실 빈맥, 증상을 동반한 서맥 등이 있는데, 심실빈맥은 급사의 위험이 있으며 서맥은 실신이나 심정지의 위험성이 있어 반드시 적극적인 검사와 치료가 요구된다.

◎ About, 부정맥 진단
부정맥은 많은 경우 발작적으로 생겼다가 정상으로 돌아오곤 한다. 따라서 진단에 가장 중요한 것은 부정맥 증상이 있을 당시 심전도를 찍는 것인데, 자주 생기지 않거나 짧게 지속되고 멈춘다면 정확하게 진단하는 것이 쉽지 않다.

발작성 부정맥이 의심되는 경우 병원에서는 24시간 심전도 모니터, 이벤트 심전도 등의 검사를 하지만 이러한 검사로도 원인이 밝혀지지 않는 경우도 흔하다.

부정맥은 반드시 맥박의 이상을 동반하므로 증상이 발생했을 당시 자신의 손목 앞쪽에 맥박이 뛰는 곳에 손가락을 대어 짚어보는 것 만으로도 진단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맥박수는 손가락으로 맥박을 짚은 상태로 10초 간의 맥박수를 세어 6을 곱하면 알 수 있다.

◎ About, 부정맥 자가진단법

1. 두근거림이 있을 때 자신의 맥박이 분당 150회 이상으로 빨라진다.
2. 맥박이 불규칙하다.
3. 어지러움을 느낄 때 맥박이 분당 약 40회 이하로 느려진다.
4. 맥박이 3초 이상 멈추는 경우가 있다.

이 중 하나라도 해당될 경우 부정맥의 가능성이 매우 높으므로 병원을 방문하는 게 좋다. 특히 맥박이 3초 이상 멈추는 것이 느껴진다면 서맥으로 인한 치료가 필요하므로 병원에 반드시 내원해야 한다.

◎ About, 부정맥 치료
부정맥 중 맥박이 느려지는 서맥은 효과적인 약물치료가 없어 인공심박동기 삽입술로 치료하게 된다. 인공심박동기는 금속으로 만들어진 얇은 배터리와 심장 내로 연결되는 전깃줄로 이루어져 있는 기계다. 시술은 왼쪽 가슴에 약 3~4 센티미터 절개 후 기계를 삽입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며, 시술 후 인공심박동기는 자동으로 작동하여 서맥이 발생하지 않도록 정상 맥박을 유지해준다. 배터리는 약 10년에 한번씩 갈아줘야 한다.

부정맥 중 빈맥의 경우에는 항부정맥 약물치료를 하거나 부정맥 발생 부위를 고주파로 절제하는 전극도자 절제술이라는 시술을 시행할 수 있다. 어떤 치료를 선택할 것인지는 빈맥의 종류 및 환자의 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 빈맥 중 가장 흔한 심방세동의 경우에는 먼저 항부정맥 약물치료를 시도해보고, 반응이 없을 경우 시술적 치료가 고려된다.

부정맥 중 만성질환으로 진행할 수 있는 심방세동의 경우는 음주, 흡연, 비만, 스트레스 및 과로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다. 증상이 있는 경우 반드시 금 주해야 하며, 과체중일 경우 체중감량이 권장된다. 기름진 음식과 탄수화물을 줄이고 채소, 해물, 견과류 등의 비율을 높이며 일주일에 4회 이상 꾸준한 유산소 운동을 하는 것이 좋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순환기내과 최영 교수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순환기내과 최영 교수

최영 교수는 “많은 경우 한 번 부정맥이 발생하기 시작하면 저절로 좋아지지 않는 경우가 많으므로, 간헐적인 두근거림이나 어지러움 등의 증상이 반복된다면 증상 발생 시의 자가 맥박을 측정해보거나, 휴대용 심전도나 맥박 측정기기 등으로 증상 발생 시의 맥박 상태를 기록 후 병원을 찾도록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