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은 한국거래소로부터 ‘2024년 유가증권시장 공시우수법인(일반 부문)’에 선정됐다고 27일 밝혔다.셀트리온은 이날 서울 영등포구 한국거래소 서울 사옥에서 열린 ‘2024년 유가증권시장 공시우수법인 시상식’에서 투명하고 성실한 공시의무 이행 성과를 인정받아 국내 제약바이오기업 중 유일하게 공시우수법인으로 선정됐다.이번 공시우수법인 선정 과정에서 셀트리온은 지난 1년간 신속하고 정확한 공시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한 점을 인정받았다. 회사는 심사 기간동안 임상·품목허가 공시를 포함해 국문 159건, 영문 76건 등 총 235건의 국내 제약바이오기업 최다 공시를 제출한 것으로 나타났다.더불어 셀트리온은 전 임직원
의료 인공지능(AI) 기업 뷰노가 세계적 규모의 의료 IT 전시회에서 AI 기반 심정지 예측 의료기기 VUNO Med®-DeepCARS®(이하 DeepCARS)를 소개하고 해외 공략에 나선다.뷰노는 다음달 3일부터 6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최되는 세계적인 규모 의료 IT 전시회 ‘2025 HIMSS 글로벌 헬스 전시회(2025 HIMSS Global Health Conference & Exhibition, 이하 HIMSS 2025)’에 참가해 DeepCARS를 알리고 현지 기업과 협업 기회를 모색할 계획이라고 오늘 밝혔다.HIMSS 2025는 미국 보건의료정보관리시스템협회(Healthcare Information and Management Systems Society, HIMSS)가 주관하는 세계적 규모의 의료 IT 기술 관련 행사다. 매년 전세계
정밀진단 플랫폼 전문기업 엔젠바이오(354200)는 2024년 매출액이 59억 원으로 전년대비 35.6% 증가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6일 공시를 통해 밝혔다. 영업손실은 157.2억 원으로 적자를 지속했다.회사 측은 국내외 NGS 암 정밀진단 제품 실적 증가와 미국 CLIA랩 매출 성장의 영향으로 엔젠바이오의 주력 제품인 NGS 정밀진단의 성과가 반영돼 매출이 증가한 것이라고 설명했다.주요 매출 성장 요인으로는 국내 NGS 정밀진단 제품 매출 17% 상승, 해외 정밀진단 제품 수출 67% 증가, 지난해 4월 인수한 미국 CLIA랩 매출 실적 증가 등을 꼽았다. 다만, 미국 CLIA랩 2곳 인수 및 신규 사업 추진 비용, 유상 증자 등 공모 관련 수수료, 미국 CL
피부 및 비뇨기과를 중심으로 전문의약품 분야에서의 확고한 입지를 바탕으로 고기능성 화장품 판매를 통해 코스메슈티컬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동구바이오제약은 첨단 재생의료 분야를 선도하는 이뮤니스바이오와 혁신적인 제품 개발 및 사업화를 목표로 첨단재생의료 및 화장품 분야의 공동 연구와 사업 협력을 위한 전략적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협약은 단순히 두 기업의 협력을 넘어, 세포치료제 및 첨단재생의료와 뷰티 및 의료산업의 혁신을 주도하고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를 표명하는 것으로 평가된다.동구바이오제약은 전문의약품 분야와 첨단 코스메슈티컬 분야에서의 성과를 바탕으로 제품 라인업
바이오플랫폼 기업 알테오젠은 자사가 국내 최초로 개발한 유전자 재조합 히알루로니다제 '테르가제주'가 서울아산병원의 약사위원회(Drug Committee, D/C)를 통과했다고 27일 밝혔다.회사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출시한 테르가제주는 국내 최초 유전자 재조합 방식으로 생산한 히알루로니다제이다. 히알루로니다제는 히알루론산을 분해하는 효소로, 국소주사제 등 약물의 침투력을 증가시키고 조직 내 과다하게 존재하는 체액 및 혈액의 재흡수를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테르가제주는 기존 동물 유래 제품에 비해 순도가 높고, 일정한 활성도를 가지며, 부작용 가능성이 낮다는 장점이 있다. 해당 제품의 유효물질은 알테오젠의 피하주사제형 플랫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수면 부족 문제가 확산되고 있다는 사실이 레즈메드(ResMed)의 제5회 연례 글로벌 수면 설문조사를 통해 드러났다. 이번 조사는 한국을 포함한 13개국에서 3만26명을 대상으로 실시됐으며, 응답자들은 매주 평균 3일 정도 충분한 숙면을 취하지 못한다고 답했다.수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아지고 있지만 여전히 다수는 만성적인 피로를 참고 견디며 도움을 요청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약 22%가 수면 문제를 감내하고 있었으며, 열악한 수면 환경은 직장 성과, 인간관계, 정신 건강 등 다양한 삶의 영역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조사됐다.특히 스트레스와 불안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전
의료 AI 1호 상장기업 제이엘케이(322510)가 자사의 의료 AI 통합 플랫폼으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510(k) 승인을 획득하며 본격적인 미국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했다고 밝혔다.FDA 인허가를 획득한 제품은 의료 영상 관리 및 데이터 분석을 한 곳에서 처리할 수 있는 AI 통합 소프트웨어 플랫폼으로 다양한 의료 영상의 분석·저장은 물론 시각화와 모바일 통신 등을 지원한다.이 플랫폼은 다양한 AI 모듈을 통합해 분석 결과를 확인하고, 중요한 소견을 직접 업데이트 할 수 있어 의료진 사용 편의를 높인 것이 특징이다. 보안성과 안정성이 강화된 DICOM 표준이 적용됐으며 뷰어 기능을 통해 의료 영상의 주석, 측정, 조작 등 정밀
갈더마코리아㈜가 지난 14일 인천 중구에 위치한 미혼모자 가족복지시설 ‘인천자모원’을 방문해 자사의 더마 스킨케어 브랜드 세타필® 제품을 기부했다고 밝혔다.갈더마코리아는 매년 임직원 킥오프 컨퍼런스가 개최되는 지역 내에서 기업의 도움이 필요한 기관을 찾아 나눔 활동을 실천하고 있다. 올해는 인천에서 킥오프 컨퍼런스가 개최돼 ‘인천자모원’을 방문했다. 인천자모원은 한부모 시설 중 출산지원 시설로, 위기 임산부의 보호와 그들의 안전한 출산을 지원하고 있다. 갈더마코리아는 임신과 출산 과정에서 미혼모들이 겪는 피부 변화와 신생아의 연약한 피부를 고려해 산모와 신생아가 모두 사용 가능한 세타필® 베이비 라인을
우리나라 주요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중동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며 성장 잠재력이 높은 중동을 차세대 시장으로 삼고 있는 분위기다. 26일 제약업계에 따르면 대웅제약은 최근 사우디아라비아에 자사의 보툴리눔 톡신 제품인 '나보타'를 정식으로 출시했다. 특히 사우디는 미용 분야 제품 허가 절차가 까다로운 국가로 알려져 있어, 이번 출시가 의미하는 바가 크다는 분석이다. 대웅제약은 이미 미국과 유럽, 캐나다 등 주요 국가에서도 나보타의 승인을 획득하며 글로벌 시장 진출 경험을 축적해 왔다. 휴젤 역시 아랍에미리트(UAE)에서 보툴리눔 톡신 제품 '보툴렉스'의 품목허가를 최근 획득했다. 휴젤은 오는 4월 중 UAE 시장에 본격적으로
한국애브비는 지난해 성공적으로 론칭한 친환경 캠페인인 뷰티업(Beauty UP) 캠페인을 올해도 지속 전개한다고 밝혔다. 지난 해의 성과를 기반으로 2025년에는 더 많은 병원과 의료진의 참여를 유도하고, 환경 보호 및 기부를 통한 사회적 기여를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뷰티업 캠페인은 의료현장에서 발생하는 보툴리눔 톡신 폐바이알을 활용한 친환경 업사이클링 프로젝트로, 메디컬 에스테틱이 추구하는 진정한 아름다움과 그 가치를 전하기 위해 기획됐다. 병원에서 사용 후 폐기되는 빈 바이알을 재활용해 예술작품으로 제작하고, 의료진 대상으로 전시·판매한 후 수익금은 기부로 이어진다. 2024년에는 총 34개 병원이 참여, 총 17개의 작품
성인 10명 중 6명은 ‘고령층 국가예방접종’ 정책 수립에 있어 ‘백신 효능’과 ‘안전성’을 가장 중요한 기준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는 지난달 21일부터 이번달 9일까지 19세 이상 성인 1663명을 대상으로 ‘국가예방접종 대국민 인식조사’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했다고 밝혔다. 해당 조사 결과는 26일 한국의학바이오기자협회와 전진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공동 주최로 열린 ‘초고령사회, 국가필수예방접종 바람직한 방향은?’ 정책토론회에서 발표됐다.온라인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고령층 국가예방접종 정책 수립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사항으로 ‘백신 효능 및 안전성’(55.4%)이 꼽혔다. 그
글로벌 헬스케어 기업 사노피의 한국법인은 오는 28일 세계 희귀질환의 날을 맞아 'LSD 희망의 이정표'라는 사내 이벤트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리소좀 축적 질환(Lysosomal Storage Disease, LSD)의 신생아 선별검사 급여 적용 1주년을 기념하며 조기 진단과 치료 과정을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리소좀 축적 질환은 세포 내 특정 효소 결핍으로 인해 발생하는 진행성 희귀질환으로, 이를 조기에 발견하지 못하면 장기 손상 및 치명적인 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국내에서는 지난해부터 신생아 선별검사가 건강보험 급여로 적용되면서 모든 신생아에게 리소좀 효소 이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됐다. 사노피는 이번 행사에서 임
인공지능 희귀질환 진단 및 치료제 개발 기업 쓰리빌리언이 2021-2022년 개최된 글로벌 유전체 해석 인공지능 경진대회 CAGI6(Critical Assessment of Genome Interpretation 6)의 STK11 문제에 참가해 우수한 성과를 거둔 내용이 Human Genetics 저널에 게재 됐고 밝혔다.CAGI6의 STK11 문제는 비소세포폐암(Non-small cell lung cancer) 환자에게서 발견된 STK11 유전자의 28개 변이에 대한 기능을 AI 모델로 예측하는 과제를 다뤘다. STK11 유전자는 암 억제자로서 폐암 발병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변이 기능의 정확한 예측은 암 진단과 치료에 필수적이다.쓰리빌리언은 AUC 93%라는 뛰어난 정확도로 참가팀 중 가장 우수한 예측 정확도를 내
분자진단 기업 제놀루션(225220)이 이스라엘 체외진단 전문기업 Savyon Diagnostics Ltd.(이하 Savyon)와 첨단 핵산추출 시약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계약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사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 pylori) 감염 진단을 위한 핵산추출 시약을 공동 생산할 계획이다. 제놀루션의 첨단 생산 설비와 Savyon의 핵산추출 시약 기술을 결합해 고품질의 핵산추출 시약을 개발한다. 해당 시약은 H. pylori 감염 진단 및 항생제 내성 분석을 위한 핵심 시약으로 대변 샘플에서 H. pylori 균을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도록 설계돼 기존 기술 대비 높은 효율성과 신뢰도를 제공한다.제놀루션은 자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병리 전문 기업 전문기업 딥바이오는 자사의 혁신적 진단 플랫폼인 딥시디엑스( DeepCDxⓇ)가 미국 특허상표청(USPTO)으로부터 공식 상표권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이번 상표권 등록은 지난 18일 최종 승인됐으며, 이번 미국 상표권 획득을 계기로 딥바이오는 인공지능에 기반해 정밀의학 및 암진단을 혁신하는 선도기업으로서 입지를 더욱 공고화할 예정이다.회사에 따르면 딥시디엑스(DeepCDxⓇ)는 최첨단 인공지능 기술과 고급 데이터 분석 역량을 결합해 신약 유효 환자군을 정밀하게 구분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투약시 발생하는 부작용을 최소화함으로써 전체 의료 비용 최적화를 가능케 하는 인공지능 기반 동
약국 전용 프리미엄 브랜드 앨리스랩(기업명 : 트래디스바이오)은 용마로지스와 ‘익일 오전 약국 도착 A 배송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고 21일 밝혔다.용마로지스 김포센터 본사에서 진행된 업무협약(MOU) 체결 행사에는 김원태 트래디스바이오 상무와 이종철 용마로지스 대표를 비롯한 양사 주요 경영진들이 참석했다. 앨리스랩은 이번 업무 협약에 따라 ‘익일 오전 약국 도착 A 배송 시스템’을 구축해 약국의 판매 기회를 열어나가 수익 창출에도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A 배송’은 앨리스랩의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을 오후 5시 이전까지 주문하면 그 다음날 오전까지 배송 받을 수 있는 서비스다. 기존 약
국내 의료 인공지능 전문기업 코어라인소프트가 다음달 1일부터 5일까지 미국 캘리포니아 하얏트 헌팅턴 비치(Hyatt Huntington Beach)에서 열리는 '미국흉부영상학회(STR)'에 참가해 자사의 최첨단 AI 기반 흉부 및 폐 영상 솔루션을 선보인다고 밝혔다. STR은 세계적인 흉부 영상의학 전문가들이 최신 연구와 기술 동향을 논의하는 국제 학술행사로 올해는 특히 AI 기술과 동반검사(Combinational Diagnostics)가 주요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코어라인소프트는 이번 행사에서 간질성 폐 질환(ILD)을 완전 자동화하고 정량 분석하는 'AVIEW Lung Texture(에이뷰 렁텍스쳐)', 만성폐쇄성폐질환(COPD)을 자동 분석하는 'AVIEW COPD(에이뷰 씨오피
국내 의료 인공지능 전문기업 ㈜딥노이드가 일본 시장 진출을 본격화한다.딥노이드는 다음달 5일부터 3일간 개최되는 일본 의료 산업 전시회 ‘메디컬 재팬 오사카 2025 (Medical Japan OSAKA2025)’에 부스 참여한다고 밝혔다. 현지 의료 시장에 최적화된 솔루션과 전략으로 글로벌 입지를 확대해 나가기 위함이라는 회사측의 설명이다.‘메디컬 재팬(Medical Japan)’은 일본의 의료·병원·제약 산업 전시회로, 매년 오사카와 도쿄에서 개최된다. 다양한 의료 전문가와 산업 관계자가 참석하는 이 행사에서 딥노이드는 ‘DEEP:NEURO(딥뉴로)’와 ‘M4CXR’ 모델을 중점적으로 알린다.대도시가 아닌 지방에서 부족한 수의 의료진을 도와 높은 정
방사성의약품 신약개발 전문기업 퓨쳐켐(KQ.220100)이 전립선암 진단 방사성의약품 FC303(프로스타뷰)의 임상 3상 환자 투여를 모두 완료했다는 소식을 25일 밝혔다.이번 임상 3상 환자 투여는 국내 7개 상급병원을 중심으로 진행됐다. 퓨쳐켐은 이를 통해 FC303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최종 검증하는 과정을 거쳤다.전립선암 진단 후보물질인 FC303은 PET-CT 촬영시 방사성 에너지를 발산하는 F18동위원소에 전립선암에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PSMA 단백질을 바이오마커로 표적할 수 있는 펩타이드를 결합한 방사성의약품이다. 정맥 투여 방식의 주사제 형태로 투여 후 PET/CT 촬영을 통해 진단하며 PSMA PET 스캔은 기존 FDG PET등의 진단법 보다 미
세포유전자치료제 배양 배지 전문기업 ‘엑셀세라퓨틱스(373110)’가 중간엽줄기세포 배양 배지인 ‘CellCor MSC CD AOF’의 미국 식품의약국(FDA) 원료의약품 등록(DMF, Drug Master File)을 완료했다는 소식이다. 이로써 엑셀세라퓨틱스는 국제적 공신력을 획득해 세계 최대인 미국 첨단바이오의약품 시장 진출을 비롯해 글로벌 시장 본격 공략에 나설 채비를 마쳤다고 25일 밝혔다.중간엽줄기세포(MSC) 배양 화학조성배지(Chemically Defined Media)가 미국 FDA의 DMF 등록에 성공한 것은 국내 첫 사례다. DMF란 의약품의 안전성과 품질 관리를 위해 원료의약품의 제조 공정과 품질 관련 정보를 FDA에 등록하는 제도다.미국 FDA의 높은 장벽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