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훈·김도훈 서울아산병원 교수팀과 나건 가톨릭대학교 교수팀은 식도암 치료를 위한 새로운 광역학 치료용 카테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의 광역학 치료는 광응답제를 정맥주사로 주입해 전신에 퍼지기 때문에 국소적 치료가 어려웠고, 치료가 암실에서만 가능하며 빛의 조사 면적도 고르게 조절하기 힘든 한계가 있었다.연구팀은 스텐트에 광응답제를 직접 코팅하고, 스텐트 내부에 레이저 전용 통로를 만들어 목표 부위에만 정확하게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치료가 필요한 부위에만 국소적으로 치료가 가능하며, 빛이 있는 환경에서도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다.새로운 카테터는 치료 후 쉽게 회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헬스케어 테크놀로지 기업 메드트로닉은 약물 방출 풍선 카테터 ‘인팩트 DCB(IN.PACT AV DCB)’가 다음달부터 폐쇄성 병변을 가진 만성 신부전 환자의 투석혈관 치료에 보험급여가 적용된다고 24일 밝혔다.이번 급여 확대는 일반 풍선 카테터로 시술받은 뒤 3개월 이내 동정맥루에 재협착이 발생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며, 인팩트 DCB를 이용한 치료가 가능해진다.말기 신장질환 환자 중 대부분은 주기적인 혈액투석을 받고 있으며, 이 과정에서 혈관 협착이 반복돼 재개통 시술이 필요하다. 인팩트 DCB는 파클리탁셀과 요소를 포함한 약물을 혈관 벽에 전달해 세포 증식을 억제하고 재협착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준다.임상시험 결과에 따르면, 인팩
인승민 건양대병원 이비인후과 교수가 국내 이비인후과 전문의 개인 중 처음으로 '축농증 풍선 카테터' 수술 500례를 돌파했다고 6일 밝혔다. 풍선 카테터 축농증 수술은 2014년 만성 축농증에 효과적인 새 치료법으로 국내에 도입됐으며, 이미 미국과 유럽에서는 기존의 축농증 수술을 대체하는 수술로 자리 잡았다.기존 축농증 수술은 염증이나 물혹 이외에도 코의 뼈와 조직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출혈이 생기고 회복 기간이 길었다. 조직 제거로 정상적인 부비동의 생리, 점액섬모운동에 지장을 줄 수 있어 수술 후 만성시침, 이물감, 후비루 증후군 등의 부작용을 발생시키기도 했다.가장 큰 문제점은 부비동이 뇌, 안구와 근접한 위치에 있
지난 3월 30일(토)~31일(일) 양일간 울산 타니베이 호텔에서 ‘제7차 DCB Expert Meeting(약물방출풍선 시술 전문가 미팅)’이 개최됐다는 소식이다.2018년 이후 매년 개최돼 올해로 7회째를 맞는 이번 전문가 미팅은 약 100여명의 심혈관 전문 의료진이 참여하여 스텐트 시술 부담을 줄여주는 약물방출풍선 카테터(Drug-Coated Balloon, DCB) 치료법의 안전성과 효과에 대한 논의와 함께 실무에 적용 가능한 최신 지견을 공유했다.회사에 따르면 약물방출풍선 카테터는 많은 임상 데이터를 통해 안전성과 효과성을 입증하고 있다. 해당 제품은 협착이 진행된 혈관에 삽입된 후 풍선이 팽창하면서 표적 병변에 밀착해 주변 조직으로 항-증식성 약...
성원메디칼이 지난 2월 1일 성원메디칼 충북 본사 대표이사실에서 동티모르 국립병원 구이도 발라다레스 국립병원(Guido Valadares National Hospital)과 업무 협약을 통해 혈관내튜브·카테터(Intravascular Catheter)를 기부했다고 밝혔다.협약식에는 성원메디칼 이대희 대표이사, 구이도 발라다레스 국립병원 Dr. Sidonio Joao da Silva Pereira가 참석했으며 충남대학교 관계자들도 함께했다.이대희 성원메디칼 대표이사는 “해외 의료 지원은 현지 주민들의 건강 복지를 위한 인류애적 가치를 실현할 뿐 아니라, 현지 의료진과 의료 기술의 공동 연구 개발 기회를 확대하는 의미 있는 일”이라고 강조하며 동티모르의 의료 서비스 개선에 좋...
식품의약품안전처는 뇌경막동정맥루 치료에 사용하는 정맥용 ‘혈관폐색용카테터(Intravascular occluding catheter)’를 희소·긴급도입 필요 의료기기로 신규 지정하고 신속한 공급을 추진한다고 밝혔다.뇌경막동정맥루는 뇌막 중 가장 바깥에 있는 경막에서 뇌동맥과 뇌정맥이 비정상적으로 연결된 뇌혈관 기형으로 뇌부종, 뇌출혈 등을 일으킨다.이 제품은 비정상적으로 연결된 뇌혈관 정맥 내부로 카테터를 삽입해 풍선을 부풀려 혈관을 일시적으로 막고 치료하는 기구이다.그간 국내에는 뇌혈관 정맥 폐색의 사용 목적으로 허가받은 제품이 없어 동맥 차단용으로 허가받은 카테터를 대체품으로 사용했으나, 이번 지정으로 뇌경막동정맥루 환...
비브라운 코리아(대표 채창형)가 지난 달 27일(토)~28일(일) 양일간 서울 웨스틴 조선에서 ‘제6차 DCB Expert Meeting(약물방출풍선 시술 전문가 미팅)’을 개최했다고 밝혔다.2018년 이후 매년 개최돼 올해로 6회째를 맞는 이번 전문가 미팅은 국내외 약 100여명의 심혈관 전문 의료진이 참여하여 스텐트 시술 부담을 줄여주는 약물방출풍선 카테터(Drug Coated Balloon, DCB) 치료법의 안전성과 효과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비브라운의 약물방출풍선 카테터 제품인 시퀀트 플리즈 네오(SeQuent Please NEO)를 중심으로 실무에 적용 가능한 최신 지견을 공유했다.‘Reduce Stent Burden and Save Lives!” 를 주제로 열린 이번 전문가 미팅은 ▲...
지멘스 헬시니어스㈜는 심장 내 초음파 카테터 제품의 누적 생산 판매 200만대를 달성했다고 18일 밝혔다.회사에 따르면 지난 2000년 출시이래 지금까지 누적 200만대 생산 판매된 심장 내 초음파 카테터 제품 ‘아쿠손 아큐나브 10F 프렌치 카테터(ACUSON AcuNav 10F French catheter)’다. 이는 심혈관계 병원의 중재 심장학 및 전기생리학실에서 임상 진단을 위해 위상 배열(Phased array) 기술을 적용한 제품으로, 심장 내부의 구조를 이미지화 하여 보여주는 특징을 가진다는 회사측의 설명이다.지멘스 헬시니어스㈜ 초음파사업본부는 2007년부터 미국 본사의 제조공정을 국내 포항 공장으로 이관하여 해당 제품을 생산해오고 있다. 지멘스 ...
보스톤사이언티픽코리아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관상동맥용 약물 코팅 풍선 카테터 ‘에이전트(AGENT)’의 사용 목적을 2019년에 허가 받은 스텐트 내 재협착(In-Stent Restenosis, ISR)뿐만 아니라 작은 혈관(small vessel)에 생긴 새로운 병변(de novo)까지 확대하여 허가 받았다고 12일 밝혔다.에이전트는 독자적인 기술을 통해 풍선 표면에 코팅된 재협착 방지 약물이 병변에 전달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이는 카테터가 혈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약물 유출을 줄이고 혈관벽을 투과한 약물이 최대한 병변에 도달하여 재협착을 억제하도록 한다. 또한, 회사는 에이전트가 굽은 혈관을 통과하여 표적 혈관에 잘 도달...
메드트로닉코리아가 지난 6일 약물 코팅 풍선 카테터 프리베일(Prevail)에 대한 한국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획득했다고 7일 밝혔다.약물 코팅 풍선을 활용한 혈관 성형술은 동맥 내 병변에 약물이 코팅된 풍선을 넣은 후 팽창시킴으로써 동맥경화반을 혈관 벽에 압착시키고, 약물을 전달 및 흡수시켜 관상동맥 협착이나 폐쇄를 치료하는 방법이다. 회사 측은 영구적인 기기 삽입이 필요하지 않기에 약물 방출형 스텐트(Drug Eluting Stent) 삽입이 바람직하지 않거나 기술적으로 스텐트 삽입술이 어려운 경우에 사용된다고 설명했다.프리베일은 흡수가 빠른 약물인 파클리탁셀(Paclitaxel)을 사용해 신생 병변, 얇은 혈관 질환(small vessel...
메드트로닉의 약물 코팅 풍선 카테터(IN.PACT™ AV DCB)가 폐쇄성 병변을 가진 혈액 투석 환자의 동정맥루 치료에서 24개월간 임상적 효능과 안전성을 확인했다.상지 동정맥루에 협착 병변이 있는 말기 신장질환 환자를 대상으로 한 24개월 임상연구(IN.PACT AV Access clinical study)에서 인팩트 AV 약물 코팅 풍선 카테터를 이용해 경피적 혈관성형술(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이하 PTA)을 받은 환자군이 일반 풍선 카테터로 시술받은 대조군보다 우수한 표적 병변 1차 혈관 개통률을 기록했다고 밝혔다.이는 약물 코팅 풍선 카테터가 말기 신장질환 환자의 PTA에 있어 2년간의 장기 치료 효과를 보여주는 첫 연구 결과다. 말기...
더블유에스아이가 첫번째 제조 품목인 경막외 비디오 카테터 ‘KESS-300EN’ 판매를 19일자로 시작했다고 20일 밝혔다.회사에 따르면 이번에 새롭게 출시한 KESS-300EN은 일회용 제품으로, 재 사용으로 인한 감염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환자가 안심하고 시술을 받을 수 있다. 특히, 병원 획득 감염(HAI) 발생률이 증가하면서 일회용 내시경의 낮은 유지 보수, 세척 및 보관 용이 등의 장점이 부각되면서 제품 수요가 가파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그동안 경막외 카테터 제품들은 하나의 사이즈로만 출시돼 왔지만, 더블유에스아이는 환자의 병변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 될 수 있도록 2가지 종류로 출시했다. 또 카테터 앞부분에 장착된 초소형...
메드트로닉의 약물 코팅 풍선 카테터가 폐쇄성 병변을 가진 혈액 투석 환자의 동정맥루 치료에서 안전성과 유효성을 확인했다는 소식이다.메드트로닉에 따르면, 인팩트 AV 약물 코팅 풍선 카테터(IN.PACT™ AV DCB)로 경피적 혈관성형술(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이하 PTA)을 받은 말기 신장질환 환자군과 일반 풍선 카테터로 PTA를 받은 환자군을 6개월간 비교한 결과, 인팩트 AV 약물 코팅 풍선 카테터를 이용한 환자군이 우수한 치료 효과를 기록했다.세계적인 의학 학술지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슨(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20년 8월호)에 게재된 해당 임상연구는 미국, 일본, 뉴질랜드의 29개 기관에서 말기 ...
시지바이오(대표 유현승)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전극카테터(Electrophysiology catheter) 2종의 제조인증을 취득했다고 밝혔다.이번에 제조인증을 취득한 전극카테터는 부정맥 진단용 카테터(mapping catheter)와 고주파로 치료하는 고주파 절제술용 카테터(RF ablation catheter) 2종으로 다양한 커브 형태와 크기, 그리고 방향을 조종할 수 있어 환자의 심장에 맞는 카테터를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을 지녀 시술 효율을 높였다는 회사측의 설명이다.지난 2018년 시지바이오는 고려대학교 의료원과 함께 보건복지부의 의료기술심화연구 사업을 통해 전극카테터 개발에 착수했으며, 32개월간 8억 원의 정부출연금을 지원받아 전극카테터 출시에...
부산백병원 소화기내과 이홍섭 교수가 최근 연하곤란, 즉 삼킴 장애 환자를 위한 풍선 카테터를 연구 및 발명하고 특허를 출원했다고 밝혔다.병원에 따르면 이 교수가 발명한 ‘식도용 풍선 카테터 (Balloon catheter for esophagus treatment)’는 식도 중간에 풍선 카테터를 삽입하여 상부식도 괄약근(조임근)을 확장시켜 늘려주는 방식으로, 상부식도 괄약근 운동이상증이 있는 환자에게 전신마취 없이 내시경을 이용해 시술이 가능하다.상부식도 괄약근은 삼키거나, 구토, 트림 시를 제외하고는 긴장성 수축상태를 유지하여 위나 식도로부터 인두 내로의 역류를 방지하고 공기가 식도 내로 들어가지 않게 하는 작용을 하는데, 이 과정에서 가...
인트론바이오는 반코마이신내성장알균(Vancomycin-resistant Enterococci; VRE)을 포함한 장알균 감염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는 EFL200 신약에 대해 카테터 투여 제형을 확보했다고 20일 밝혔다.EFL200의 카테터 투여 제형은 카테터의 삽입으로 발생한 요로감염(Urinary Tract Infection; UTI) 치료를 주요 대상으로 개발됐다. 인트론바이오는 앞서 경구투여형 제형을 확보한 데 이어 이에 이번에 개발한 카테터 투여 제형으로 요로감염 치료는 물론 다양한 제형 개발의 가능성을 높이게 됐다는 회사측의 설명이다.회사에 따르면, 요로감염은 소변 검체에서 1가지 이상의 균종이 105 cfu/ml 이상 검출되는 경우를 지칭하는데, 1주일 넘게 카테터를 ...
혈우병환자 위한 장기유치용 카테터 급여 적용이 내다 1일부터 인정됨에 따라, 이들의 삶의 질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28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혈우병 환자의 중심 정맥 내 카테터 유치술 시 사용되는 장기유치용 포트형 카테터를 10월 1일부터 급여로 인정한다고 밝혔다.장기유치용 포트형 카테터가 급여로 확대되면서 장기간 치료를 위한 정맥확보가 필요한 혈우병 환자의 치료가 보다 쉬워질 뿐만 아니라 고통이 줄어드는 등 다방면에서 삶의 질이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혈우병은 혈액응고인자 부족으로 인한 출혈로 항혈우인자 주사제를 지속적으로 정맥 투여해야 한다. 주 2~3회의 반복적 정맥 투여를 위한 말초혈관 확보에 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