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정훈·김도훈 서울아산병원 교수팀과 나건 가톨릭대학교 교수팀은 식도암 치료를 위한 새로운 광역학 치료용 카테터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기존의 광역학 치료는 광응답제를 정맥주사로 주입해 전신에 퍼지기 때문에 국소적 치료가 어려웠고, 치료가 암실에서만 가능하며 빛의 조사 면적도 고르게 조절하기 힘든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스텐트에 광응답제를 직접 코팅하고, 스텐트 내부에 레이저 전용 통로를 만들어 목표 부위에만 정확하게 빛을 조사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치료가 필요한 부위에만 국소적으로 치료가 가능하며, 빛이 있는 환경에서도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다.

(왼쪽부터) 박정훈 서울아산병원 융합의학과 교수, 김도훈 소화기내과 교수 (서울아산병원 제공)
(왼쪽부터) 박정훈 서울아산병원 융합의학과 교수, 김도훈 소화기내과 교수 (서울아산병원 제공)
새로운 카테터는 치료 후 쉽게 회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장기간 거치로 인한 합병증 위험을 줄였으며, 동물 실험에서 유의미한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확인했다. 특히, 식도암 이식 마우스 모델에서 종양 크기와 무게가 감소했고, 토끼 모델에서는 내시경과 조직검사 결과 점막 괴사와 섬유화 반응이 확인됐다.

박정훈 교수는 "이번 연구는 최소침습적 중재시술법으로, 식도암뿐만 아니라 다른 악성 종양에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김도훈 교수는 "정맥주사 없이 국소적으로 적용할 수 있어 전신 독성 없이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으며, 국제학술지 ‘바이오머티리얼스(Biomaterials)’에 최근 게재됐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