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상하이 자오퉁 대학 루이진 병원 연구팀이 이 같은 내용의 연구결과를 ‘신경신경외과 및 정신의학 저널(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에 게재했다고 미국의 의학전문매체 메디컬뉴스투데이가 보도했다.
연구팀은 파킨슨 환자 230명을 대상으로 일주일에 두 번 태극권을 연습하는 그룹과, 표준 의료 서비스를 받되 태극권은 수련하지 않은 그룹으로 나누어 5년간 질병의 경과와 중증도를 모니터링 했다.

또한 39개 항목의 파킨슨병 설문지(PDQ-39)를 사용한 환자의 삶의 질 평가와 파킨슨병 수면 척도(PDSS) 평가에서 모두 개선 효과를 보였다.
또한 운동 및 비운동 합병증의 유병률을 계산한 결과, 태극권 그룹에서 이상운동증, 피로 현상, 근긴장 이상, 환각, 경도 인지 장애(MCI) 및 하지 불안 증후군의 유병률이 태극권 그룹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연구를 이끈 셍디 천 교수는 "파킨슨병은 소교세포 활성으로 증가된 염증이 주요 원인인데, 운동을 하면 인터루킨(IL)-17A 및 IL-6과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감소하고, 종양 괴사 인자-α와 IL-1β의 수준도 낮아진다"며 "태극권 수련 환자들에서 이 같은 염증인자들이 낮아지고, 과립구-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GM-CSF) 인자들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어 "이 같은 효과로 인해 태극권이 파킨스병에서 보행, 균형, 자율신경 증상 및 인지에 대한 진행 속도를 늦추고, 장애 없는 시간을 연장하고 약물 사용을 줄일 수 있다" 고 설명했다.
다만 시험에 참가한 이들의 수가 충분하지 않았으며, 다양한 외부 변수들이 통제되지 않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지예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