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계에 따르면 김우빈은 1월 6일 첫 방송된 MBC 창사특집 다큐멘터리 '휴머니멀'에서 내레이터 역할을 맡았다.
앞서 김우빈은 지난해 11월 청룡영화상 시상, 12월 팬 미팅·화보 촬영 등을 이어가며 본격적인 연예계 컴백에 시동을 걸었다.
이런 가운데 김우빈이 투병했던 비인두암에 대한 관심이 다시 떠오르고 있다.
비인두는 뇌 기저에서 연구개까지 이르는 인두의 가장 윗부분으로, 이곳에 생긴 악성 종양을 비인두암이라고 하는데 조직학적으로는 편평세포암종이 대부분이다.
비인두암은 전 세계적으로 10만 명당 1명꼴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을만큼 희귀병의 일종이다. 중앙암등록본부가 지난 8월 발표한 암 등록 통계에 따르면 국내 비인두암 환자는 2016년 현재 408명으로, 2014년 364명 보다 12.1% 증가했다. 성별로 보면 남성이 309명으로 여성(99명)보다 3배 이상이었다.
비인두암의 발생 원인은 인종적·유전적·생활환경적 요인 등과 더불어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것으로 전해진다.
특히 엡스타인 바 바이러스(EBV) 감염과 만성적인 코의 염증, 불결한 위생 환경, 비인두의 환기 저하, 소금으로 절인 보존 음식물에 포함되어 있는 니트로사민과 음식물을 가열할 때 발생하는 다환 탄화수소의 노출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학계는 파악하고 있다.
음주·흡연, 비타민 결핍, 분진, 중금속, 매연 등 유해물질에 의한 노출도 발병을 높이는 요인으로 꼽힌다.

비인두암의 증상은 목에 손으로 만져질만한 혹이 있는 경우가 가장 흔하다.
또한 지속적인 코 막힘과 피가 섞인 콧물, 목이 붓는 증상, 귀가 막힌 느낌·청력 저하 등이 나타나기도 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영찬 교수는 "귀가 먹먹한 이충만감, 코막힘 등 증상이 흔하기 때문에 초기에 중이염 또는 부비동염으로 오인되는 경우가 많다"고 전했다.
비인두암의 치료는 수술적 접근이 어려워 방사선 치료 또는 항암 방사선 동시 치료가 고려된다.
비인두암의 예방은 금연 및 금주, 개인위생 관리 등이 꼽힌다.
비인두암 발생 원인이 바이러스 및 불결한 위생, 음식 등과 연관되었을 가능성이 보고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영찬 교수는 "구강 청결을 유지하고 틀니 등의 구강 내 보철물을 치아와 잇몸에 잘 맞게 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인유두종 바이러스(HPV) 감염 예방을 위한 건강한 성생활 유지, 관련 백신 접종도 좋은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이어 이 교수는 "조기 발견이 무엇보다 중요하므로 잦은 흡연과 음주를 하는 40~50대 이상의 성인은 적어도 1년에 한번 이비인후과에서 관련된 정기적인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또한 채소, 과일, 곡물을 많이 섭취하고 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E 등을 적당량 섭취하는 등의 습관을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임혜정 기자
hyejeong@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