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현명하게 장 보기
대부분의 사람들은 필요한 양보다 더 많은 음식을 구매하는 경향이 있다. 대량 구매는 편리할 수 있지만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쇼핑 방식은 음식물 쓰레기를 더 많이 발생시킨다고 한다. 필요 이상의 식품을 사지 않으려면 일주일에 한 번 대량으로 장을 보는 것보다 며칠에 한 번씩 장을 자주 보러 가는 것이 좋다. 또한 꼭 사야 할 품목의 목록을 작성하는 것도 좋다.
2. 올바른 음식 보관
음식 보관을 잘 하지 못하는 것도 엄청난 양의 음식물 쓰레기 생산으로 이어진다. 영국의 한 위원회의 자료 조사에 따르면 영국의 가정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의 약 3분의 2가 음식물 부패로 인한 것이라고 전해졌다. 감자와 토마토, 마늘, 오이, 양파는 실온에 보관해야 하고 에틸렌 가스가 많이 발생하는 식품과 그렇지 않은 식품을 분리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에틸렌 가스를 생성하는 식품으로는 바나나, 아보카도, 토마토, 복숭아, 배, 파 등이 있다.
3. 보존 방법 배우기
발효와 절임과 같은 식품 보존 기술은 수천 년 동안 사용되어 왔다. 소금물이나 식초를 사용하는 절임은 기원전 2400년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 절임, 건조, 통조림, 발효, 냉동, 양생은 모두 음식을 오래 보관하여 낭비를 줄이는 데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들은 탄소 발자국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용도 절약할 수 있다.
4. 완벽주의자 되지 않기
가장 완벽해 보이는 사과를 찾을 때까지 사과 통을 샅샅이 뒤지는 것이 음식물 쓰레기의 원인이 된다는 사실. 맛과 영양은 똑같지만 소위 못생긴 과일과 채소는 보기에 더 좋은 농산물을 위해 버려진다. 장을 볼 때 약간 결점이 있는 농산물을 선택하거나 농부로부터 직접 구입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5. 냉장고 정리하기
냉장고에 음식이 잘 채워져 있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냉장고가 지나치게 가득 차 있으면 음식물 쓰레기로 인해 좋지 않을 수 있다. 냉장고를 깔끔하게 정리하여 식품을 한 눈에 보고 언제 구입했는지 알 수 있도록 하면 음식이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새 딸기를 구입하면 오래된 상자 뒤에 넣는 것이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