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연구는 천근아·최항녕 소아정신과 교수, 박유랑 의생명시스템정보학교실 교수팀이 공동으로 수행했으며, 결과는 국제학술지 npj Digital Medicine (IF 12.4)에 게재됐다.

또한, AI는 ADHD 환자의 망막에서 혈관 밀도 증가, 동맥 혈관 폭 감소, 시신경유두(optic disc) 구조 변화 등의 주요 특징을 도출했다. 더불어, ADHD의 실행기능 중 하나인 시각적 선택적 주의력(Visual Selective Attention) 손상 정도도 87.3% 정확도로 예측 가능함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