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플란트를 심기 전에는 그 자리에 잇몸뼈가 충분한지를 확인해야 한다. 잇몸뼈가 충분하지 않으면 임플란트가 제대로 결합하지 못해 추후 흔들리거나 심할 경우 빠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심기 전부터 위치나 각도, 잇몸뼈의 양을 고려해 식립 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만약 잇몸뼈가 부족하다면 별도의 뼈이식을 통해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는데 그렇다면 상악동은 언제 필요할까?

상악동 임플란트는 노화에 의해 치조골이 소실됐거나 치아를 발치한 후 오랜 시간이 지나 점점 밑으로 내려앉은 분들에게 필요한 과정이다. 상악동의 경우 얼굴에 있는 몇 개의 부비동 중 하나로 코 주변에 있는 빈 공간을 의미하는데 상악동 바닥을 올려주면 그 아래 뼈를 이식해 임플란트를 심을 수 있는 뼈를 만들어낼 수 있다.

권순찬 로이스치과의원 대구점 대표원장
권순찬 로이스치과의원 대구점 대표원장
하지만 상악동의 경계에는 얇은 막이 존재하는데 이 막이 찢어지면 상악동 천공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천공이 발생할 경우 심각한 출혈과 염증으로 문제가 이어질 수 있다. 또한 뼈의 폭이 얇아진 경우에는 식립 중 턱뼈의 파손 위험이 있으며 뼈의 양이 적어 교합력을 견디지 못하고 임플란트가 조기에 빠질 수도 있다. 따라서 고도의 수술 능력을 필요로 한다.

이처럼 상악동의 특별한 구조 때문에 임플란트를 식립하는 것은 아래턱보다 더 어려운 수술 노하우를 필요로 한다. 수술 중 점막이 찢어지거나 남아있던 얇은 잇몸뼈가 으스러지는 등 고난도 과정에 해당되기 때문에 경험과 노하우가 풍부한 의료진의 도움이 필수다.

상악동 거상술은 치아 위 어금니가 빠진 지 오래된 분, 위턱 어금니에 장기간 틀니를 장착해 뼈가 많이 흡수된 분, 심한 치주염으로 위 어금니를 발치한 분, 상악동이 많이 내려와 뼈의 공간이 부족한 분이 치료대상이다.

상악동 임플란트 수술을 잘 마쳤다고 할지라도 주의사항을 잘 지켜주지 않으면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니 의료진의 안내한 주의사항을 잘 지켜준다면 경과도 좋을 것이다.

(글 : 권순찬 로이스치과의원 대구점 대표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