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화이자제약 프리베나®13은 항암치료환자에 있어 폐렴구균 백신 접종 필요성 및 접종 타이밍을 주제로 ‘2021 백스퍼트(Vxpert, Vaccine + Expert) 웨비나’ 강연을 진행했다. ‘백스퍼트 웨비나’는 폐렴구균 질환 및 백신 관련 최신 지견과 다양한 데이터를 전달하는 강의 시리즈로, 2021년 1년 간 개원의 및 종합병원 등 일선 의료진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진행된다.특히, 이번 강연 시리즈는 ‘기본편’과 보다 심화된 지식을 다루는 ‘심화편’으로 크게 두 가지 과정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기본편’은 COVID-19 상황에서 폐렴구균 백신 접종 중요성과 안전성과 더불어, 65세 이상에서 폐렴구균 예방접종 가이드라인, 폐렴구균과 독감...
비보존(대표이사 이두현)은 회사가 개발하고 있는 수술 후 통증 치료제 오피란제린(VVZ-149) 주사제의 개념입증(PoC) 연구 결과가 통증 분야 저명 국제 학술지 ‘통증 의학(Pain Medicine)’에 게재된다고 15일 밝혔다.해당 내용은 미국 현지 시간으로 11일 최종 결정됐다. ‘통증 의학’은 세계척추중재시술학회의 공식 저널로 통증 분야에서 영향력 지수가 높은 세계적 의학저널 중 하나로 알려져있다.해당 논문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마취통증의학과 배선준 교수가 진행한 임상 2b의 결과로, 하버드 의대에서 진행된 임상 2a와의 결과 비교 분석이 완료됨에 따라 논문 출간이 확정됐다. 임상 2a를 진행한 하버드 의대 마취통증학과 서전 네델...
아스트라제네카의 타그리소(성분명: 오시머티닙)가 FLAURA China 3상 임상 연구 결과, FLAURA연구와 일관되게 기존의 표준치료 대비 현저히 개선된 무진행 생존기간(PFS) 및 전체 생존기간(OS) 이점을 나타낸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연구 결과는 2월 5일 (금) ‘표적 종양학(Targeted Oncology)’ 학술지에 온라인 게재되었다.연구 결과, 타그리소 투여군의 무진행 생존기간 (PFS, Progression Free Survival) 중앙값은 17.8 개월로 표준치료군 (1 세대 EGFR-TKI)의 9.8개월 보다8.0개월 길었고, 사망 위험은 44%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비[HR] 0.56; 95% 신뢰구간[CI] 0.37-0.85; p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KOSDAQ 288330)는 현재 개발중인 특발성 폐섬유증(Idiopathic Pulmonary Fibrosis; IPF) 신약 후보물질 ‘BBT-877’의 오토택신 저해제 계열 내 의약품(First-In-Class)으로서의 개발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고 전했다.유럽 현지 시각 기준 2월 10일, 동일 계열의 선두 개발 후보물질 ‘GLPG1690’의 개발사인 갈라파고스(Galapagos)가 해당 물질의 임상 3상 중단 소식을 공식 발표함에 따라, 계열 내 두 번째 개발 후보물질이었던 BBT-877이 첫 번째 개발 후보물질로 올라서게 됐다는 설명이다.BBT-877은 다양한 섬유증 질환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진 신규 표적 단백질 ‘오토택신(autotaxin)’의 활성을 저해하는 신약...
앱클론이 2월 16일부터 18일까지 개최되는 “CAR-TCR Europe Summit”에 참가해 자사의 CAR-T 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 AT101(혈액암 치료제)과 AT501(난소암 치료제)의 비임상 연구 성과를 발표한다고 10일 밝혔다. 최근 FDA로부터 승인 받은 BMS의 CAR-T 세포치료제 Breyanzi도 이번 학회를 통해 소개될 예정이다.앱클론은 펜실베니아 대학교(University of Pennsylvania, U-Penn) 의과대학, 서울대학교 의과대학과 함께 관련 CAR-T 세포치료제를 공동 연구개발 중이다. 이번에 발표할 내용은 AT101 및 AT501의 CAR-T 동물모델 등의 약효관련 실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으며, 기존 CAR-T 세포치료제 대비 차별화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AT101은 CD...
제넥신은 ㈜제넨바이오와 이종 각막이식 분야의 연구개발 및 사업화 협력을 위한 공동연구개발사업화 계약을 9일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협약에 따라 양사는 형질전환 이종 각막이식 제품 개발을 위해 연구부터 비임상과 임상까지 전 과정에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본격적인 사업화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제넨바이오는 이종이식용 형질전환 동물에서의 각막 생산 및 이식을, 제넥신은 개발 노하우를 접목하여 관련 임상시험을 공동수행하고 사업화를 이끄는 등의 공동 개발에 나선다. 본 계약에 따라 양사는 대상 기술에 대한 전세계 권리와 지적재산권 등을 공동 소유하며, 사업화를 통한 수익도 공동으로 배분할 계획이다.양사는 현재 개발중인...
삼양바이오팜은 인도네시아 현지의 미용성형 의료기기 유통 전문기업과 리프팅 실 브랜드 ‘크로키’ 유통 계약을 체결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삼양바이오팜은 현지 기업을 통해 품목허가를 진행하고 이르면 오는 6월부터 인도네시아 판매를 시작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삼양바이오팜 관계자는 “고속 성장하는 인도네시아 시장 진출로 크로키의 글로벌 입지를 넓히는계기가 될 것”이라면서 “올해는 다양한 비대면 학술 마케팅과 온라인 활동으로 크로키의 안전성 및 유효성을 입증하고 전 세계 미용성형 시장에서 인정받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한편, 삼양바이오팜은 다양한 비대면 학술 마케팅을 진행해 전 ...
동아제약(대표이사 사장 최호진)은 한정판 숙취해소음료 모닝케어 스페셜 굿즈 세트를 출시했다고 10일 밝혔다.회사에 다르면 모닝케어 스페셜 굿즈 세트는 홈술(집에서 마시는 술), 혼술(혼자 마시는 술), 캠핑을 즐기는 소비자를 겨냥했다.이 세트는 모닝케어H, 모닝케어D, 모닝케어S 3병과 모닝케어 뚜껑 모양을 본떠 만든 술잔 2개로 구성되었다. 특히 술잔은 깨지기 쉬운 유리가 아닌 내구성이 좋은 스테인리스 소재로 만들어져 캠핑 등 야외에서 사용하기에도 안성맞춤이라는 회사측의 설명이다.모닝케어 스페셜 굿즈 세트는 1000개 한정 판매하며, 동아제약 공식 브랜드몰 디몰(:Dmall)과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등에서 구매 가능하다.동아...
마크로젠은 이뮨메드가 개발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속 면역 진단키트의 해외 사업권을 획득했다고 10일 밝혔다.이번 계약으로, 마크로젠은 이뮨메드의 신속 항체 진단키트(ImmuneMed COVID-19 IgM/IgG RAPID)와 추가 개발 예정인 코로나19 관련 진단키트의 사업권을 모두 확보했다. 이뮨메드는 코로나19 신속 면역 진단키트의 개발과 생산을 담당하고, 마크로젠은 해당 진단키트의 해외 유통, 판매, 수출을 진행한다. 마크로젠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수출허가 및 유럽 체외진단시약 인증(CE-IVD)을 획득한 신속 항체 진단키트를 우선으로 판매할 계획이다.회사에 따르면 이뮨메드의 신속 항체 진단키트는 아주 작은 양의 혈액...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가 췌장암 항체신약 후보물질 ‘PBP1510’의 1/2a상 임상시험승인신청서(IND)를 프랑스 국립의약품건강제품안정청 (French National Agency for Medicines and Health Products Safety, ‘ANSM’)에 제출했다고 9일 발표했다.PBP1510은 췌장암 대부분에서 발견되는 췌관선암 과발현 인자 (Pancreatic Adenocarcinoma Up-regulated Factor: PAUF)를 중화하는 항체신약으로 PAUF에 기인한 다양한 암 진행 및 전이 메카니즘을 차단한다. PAUF는 또한 종양미세환경 (Tumor Microenvironment, TME)을 변화시켜 생체의 면역체계를 억제함과 동시에 면역을 교란하여 암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데, PBP1510은 이러한 PAUF의 역할을 원...
㈜티앤알바이오팹이 간 조직의 형상을 3D바이오프린터로 만들어 낼 수 있는 '단면 패턴을 갖는 인쇄물의 제조 방법 및 장치'에 대한 미국 특허 취득을 완료했다고 전했다.회사에 따르면 이 특허기술은 인체 조직의 정밀한 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바이오프린팅 기법에 관한 기술이며, 다양한 종류의 세포를 동시에 빠르고 정밀하게 프린팅할 수 있어 향후 간 오가노이드뿐 아니라 신경다발, 혈관 등 다양한 인체 조직을 프린팅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은 회사가 가진 차별화된 바이오프린팅 기술로서, 기존 생물학 분야에서 구현하기 힘든 기술로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고 전했다.특히 회사가 진행 중인 ...
한국화이자제약은 소아 내분비내과 의료진을 대상으로 성장호르몬 치료를 받는 저신장 소아의 성장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주는 ‘개별 성장 반응 최적화(Individual Growth Response Optimization, 이하 iGRO)’ 프로그램을 출시한다고 9일 밝혔다.iGRO는 화이자의 성장호르몬 치료제 지노트로핀(성분명: 소마트로핀)의 대규모 고유 데이터베이스 KIGS(Pfizer International Growth Database)를 기반으로 성장 예측 알고리즘 모델을 적용해 의료진이 유전적, 대사적, 신체적 특징에 따라 성장호르몬(GH) 치료에 다르게 반응하는 소아의 성장을 개인별로 최적화해 평가할 수 있도록 개발됐다.성장호르몬 치료를 받는 ▲특발성 성장호르몬 결핍증(I...
㈜툴젠이 ㈜제넥신, ㈜제넨바이오와 함께 이종장기이식 분야의 연구 및 사업화 협력을 위한 공동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세 기업은 이번 협약에 따라 이종장기이식을 위한 유전자교정 돼지를 공동 연구개발하고, 임상시험을 위한 협력 체계를 구축하여 사업화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이종장기이식’(Xenotransplantation)이란 장기 이식이 필요한 환자에게 동물의 장기를 이식하는 기술이다. 질병관리본부의 통계에 따르면, 국내 이식용 장기 공급율은 11.8% 수준으로 매일 5.2명의 환자가 장기이식을 기다리다 사망하고 있다. ‘이종장기이식’은 이식 장기 부족을 해결할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평가받는 기술이다.성공적인 ‘...
이달 코스닥에 입성하는 인공지능(AI) 의료 기기 개발사 뷰노가 “상장을 기반으로 전 세계 '의료 인공지능' 산업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 하겠다”고 선언했다. 또 “지금은 인공지능 진단보조기의 태동기”아며 “형후 5년 이내 인공지능 진단보조기가 완전히 자리잡을 것”이라고 소개했다.뷰노가 8일 여의도 63빌딩에서 기업공개(IPO) 기자간담회를 개최하고 국내외 의료인공지능 선도기업으로서의 R&D 및 사업성과와 코스닥 상장에 따른 전략과 비전을 발표했다.2014년 12월 설립한 뷰노는 국내 1호 인공지능 의료기기를 비롯한 의료인공지능 솔루션 개발 기업이다. 의료영상, 병리, 생체신호, 의료음성 등 인공지능 기술이 혁...
대웅제약(대표 전승호)은 5일 ‘참지마요 프로젝트 제3기 교육봉사단’ 발대식을 화상 프로그램을 이용해 비대면으로 진행했다고 전했다. ‘참지마요 프로젝트’는 대웅제약의 대표적인 사회공헌 프로그램이다.이번에 선발된 대학생 교육봉사단은 총 110명으로,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봉사활동을 하게 된 만큼 전국으로 대상 기관을 넓힐 수 있어 기존 80명 대비 봉사단 인원이 확대됐다. 특히 이번 3기 모집에는 약 1,400명이 지원해 ‘참지마요 프로젝트’에 대한 대학생들의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회사측은 밝혔다.코로나19로 인해 온라인으로 진행된 발대식에서는 아이스 브레이킹을 시작으로 참지마요 프로젝트 개요, 교육 봉사...
사노피-아벤티스 코리아(대표: 배경은)는 자사의 경구형 다발경화증 1차 치료제 오바지오®필름코팅정(성분명: 테리플루노마이드)의 급여 기준이 확대됐다고 8일 밝혔다.오바지오®는 보건복지부가 지난 1월 29일 공고한 ‘요양급여의 적용기준 및 방법에 관한 세부사항(약제)’에 따라 신경과 전문의가 진찰하여 McDonald(’17) 진단기준(시간파종(Dissemination in time, DIT)과 공간파종(Dissemination in space, DIS)을 충족)에 부합하면서 다른 유사질환에 의한 발생을 배제할 수 있는 외래 통원이 가능한 재발완화형 다발경화증 환자(RRMS)로 급여 대상이 확대됐다.이번 개정안의 핵심은 급여 기준이 다발경화증의 표준 진단 기준인 McDona...
동아에스티(대표이사 회장 엄대식)는 First-in-class(신규 작용 기전) 신약으로 개발 중인 제2형 당뇨병치료제 ‘DA-1241’의 미국 임상 1b상에서 우수한 혈당강하 효과를 확인했다고 8일 밝혔다.이번 임상결과는 올해 6월 개최 예정인 미국 당뇨병학회에서 발표할 계획으로, 초록집 제출을 완료했다.DA-1241은 GPR119 agonist(작용제) 기전의 First-in-class 신약이다. GPR119(G protein-coupled receptor 119)는 췌장의 베타세포에 존재하는 수용체로, 활성화되면 포도당이나 지질 대사 산물의 양에 따라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킨다. DA-1241은 이 수용체를 활성화해 저혈당 위험없이 식후 혈당을 개선한다.GPR119는 소장과 간에서도 발견되며, ...
비아트리스 코리아㈜(대표이사 이혜영)는 2월 8일 신경병증성 통증 인식 개선을 위해 진행 중인 ‘R.E.D 캠페인’의 공식 웹사이트를 리뉴얼하여 오픈했다고 밝혔다.회사에 따르면 R.E.D(Recognize, Express, Diagnose) 캠페인은 신경병증성 통증의 인식(Recognize), 표현(Express), 조기 진단(Diagnose) 및 치료를 통한 만성화 예방의 중요성 알리기 위한 캠페인이다. 지난 2019년 공식 론칭 후 신경병증성 통증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제공하고, 질환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자 공식 웹사이트를 오픈했다.이후 바디페인팅 퍼포먼스, 캠페인 영상 및 질환 인포그래픽 제작, 통증 수첩ᆞ만화 포함 다양한 질환 교육 자료 배포 등의 활동을 꾸준히 이...
㈜툴젠과 경북대학교는 ‘유전자교정기술과 유전육종기술을 접목하여 새로운 작물개발 협력’를 위해 상호양해각서를 체결하였다고 밝혔다.툴젠과 경북대는 연구협력 및 공동연구를 위해 △ 학술교류/기관 간 연구재료·정보 공유/ 연구장비 및 시설을 공동 활용, △인재 양성을 위한 현장(인턴)실습/세미나/공동 교육 및 워크숍/연구원 파견 등 인적 자원 교류, △최신 기술 및 산업동향에 관한 정보 공유 △연구협력의 결과물(논문이나 특허, 육종재료 등)의 상호 발전적 협의 등을 협력할 방침이다.툴젠과 경북대는 이미 유전자교정 콩 개발을 위해서 지난 3년간 소규모로 협력연구를 하고 있었으며 ㈜툴젠 종자사업의 해외진출을 위하여 중앙...
‘쎌바이오텍’은 2월 7일 7시 40분에 방송된 ‘면역력의 조건, 한국인의 마이크로바이옴’을 통해 한국인 고유의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유지의 중요성과 이를 위한 한국산 유산균 섭취의 필요성을 집중 조명했다고 밝혔다.방송에 따르면, 민족⸱국가별로 형성된 장내 마이크로바이옴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필요한 유산균의 종류도 다르다. 때문에 한국인은 한국인 마이크로바이옴에 적합하고, 한국인 대상 연구 및 안전성이 검증된 한국산 유산균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하다.한국인에게 맞는 유산균을 찾기 위한 듀오락 세포공학연구소의 노력도 눈길을 끌었다. 영농조합, 김치 공장, 산후조리원 등 전국을 돌아다니며 한국 고유의 시료를 찾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