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플 참여에서 HSR까지 다양한 기부형태로 진화
인기 아이돌 그룹 BTS는 좋은 이미지로 기부문화를 창출해 내고 있다. 멤버인 지민의 필리핀 팬들은 그의 25번째 생일을 맞아 자신의 나라에 소아암 환자의 치료를 돕기 위한 거주시설 바헤이 아루가(Bahay Aruga)를 지어주기 위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천사 이미지로 알려진 그의 염원을 팬 카페를 통해 전세계 팬들에게 확산시키고 있는 글로벌 기부활동이다. 핸드폰 앱(App)을 통한 기부활동도 눈길을 끈다. 사회공헌 앱에서 시행하는 10미터 걸을 때마다 소아암, 미혼모에 1원씩 적립되는 기부, 펫(Pet)어플을 로그인하고 이벤트에 참여하면 유기견에게 사료가 기증되는 기부 등이다. 자신이 만든 물건이 전달되는 형태도 있다. 직접 바느질한 마스크를 국제구호재단에 보내면 백혈병어린이에게 마스크가 기부된다. 이러한 활동들은 커뮤니티나 SNS, 어플과 같은 수단을 활용해 ‘자랑’의 개념이 아닌 ‘소통’의 개념으로 기부 문화를 바꿔가고 있다.
기부의 수혜자들은 대부분 취약계층이나 의료의 사각지대에 있는 경우가 많다. 이에 대한 의료계의 기부 활동도 이색적이다. 지역사회에서 해외에 이르기까지 해마다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의료계 한 관계자는 “최근 의료서비스라는 개념이 접목되면서 환자를 고객의 개념으로 여기게 되고 기업이 시행해오고 있는 다양한 CSR활동들과 유사한 형태의 HSR(Hospital Social Responsibility, 병원의 사회적 책임) 활동들이 각계 의료계에서 활발하게 펼쳐지고 있다. 낮은 자세로 지역사회와 소통하고 주변을 살피는 길이 각박해지고 있는 현실 속에서 결국에는 서로가 상생할 수 있는 길이다.”고 전했다.



건전한 기부 문화는 참여하는 개인이나 단체 구성원에 있어 나눌수록 보람을 느낀다는 점에는이의가 없는 것 같다. 어려울수록 나눔을 실천하는 이러한 기부문화의 변화가 지역 사회 발전을 넘어 국가 경쟁력을 드높이는 진정한 문화로 성장하길 기대해 본다.
지종현 기자
neopr21@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