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자연세병원김포점김진형병원장
가자연세병원김포점김진형병원장
중장년층을 넘어가게 되면 척추질환의 발병 위험이 높아 언제든 주의하는 편이 좋다. 보통 허리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 허리디스크를 떠올리기 쉽지만 허리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은 다양히 존재하기 때문에 정확한 진단이 필요하다. 그 중에서 허리디스크 다음으로 흔히 발병하는 질환으로 척추관협착증이 있다.

척추는 신체를 지탱하는 역할 외에도 뇌에서 뻗은 신경다발을 신체 각 곳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신경은 척추 내부 공간에서 뻗어 나가는데 이처럼 터널 역할을 하는 관 모양의 공간을 척추관이라고 한다. 이러한 척추관이 좁아지게 되면 내부에 존재하는 신경이 눌리게 되면서 통증 및 신경 이상 증세를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질환을 척추관협착증이라고 한다.

이 척추관협착증은 보통의 척추질환과 다르지 않게 퇴행성 변화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대표적인 퇴행성 질환으로 잘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고령화 사회가 가속화되면서 척추관협착증의 발병률이 눈에 띄게 높아지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기도 하다.

척추관협착증이 발생하면 허리에 뻐근한 통증과 다리로 이어지는 하지방사통이 대표 증상으로 나타난다. 특히 허리디스크와 달리 하지방사통이 좀 더 심하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어 보행에도 영향을 주게 되는데 다리가 저리고 아파 오래 걷지 못하고 자주 쉬어 주어야 하는 파행적 보행 형태를 유발하게 될 수 있다. 또한 허리를 뒤로 젖혔을 때 통증이 심해지며 앞으로 굽혔을 때는 통증이 완화되어 허리가 앞으로 굽어지는 ‘꼬부랑 허리’ 형태를 보이게 될 수 있다.

대부분의 척추 질환은 시간이 지날수록 그 증상이 악화되면서 일상에 커다란 변화를 일으키게 될 수 있다. 척추관협착증의 경우 X-ray, MRI 등 정밀 검사를 통해 진단이 가능하다.

만약 척추관협착증으로 진단된 경우에는 증상과 상태에 맞춰 여러 치료법이 적용될 수 있다. 그 정도가 심하지 않은 초기라면 약물치료, 주사치료, 물리치료 등 보존적인 치료로 통증을 감소시키고 증상을 완화해볼 수 있다. 만약 보존적 치료로 증상 완화가 힘들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신경차단술과 같은 시술적 치료를 적용해볼 수 있다.

하지만 보존적, 비수술적 치료를 꾸준히 진행했음에도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나 일상에 어려움이 있을 정도로 증상이 심각한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불가피해질 수 있다. 척추관협착증의 수술적 치료로 내시경을 이용한 척추내시경 수술이 있다. 이는 최소 절개로 척추 내부에 내시경 카메라와 특수 의료기구를 삽입한 뒤 실시간 모니터링을 통해 병변 부위를 자세히 살피며 진단과 동시에 치료가 이루어지는 방법이다.

척추 내시경 수술은 출혈, 흉터에 대한 걱정이 적고 감염이나 부작용의 발생 위험도 낮다는 장점을 가진다. 하지만 수술 이후에도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 재활 치료를 통해 척추의 기능을 온전히 회복될 수 있도록 하고 평소 척추에 무리가 가지 않는 선에서 꾸준한 스트레칭 및 운동을 하는 것이 좋으며 바른 자세를 통해 척추 질환이 재발하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 : 가자연세병원 김진형 병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