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자임헬스 김동석 대표는 ‘질병의 사회적 낙인과 사회적 지지가 낙인 관리 커뮤니케이션과 환자 역할 행동에 미치는 영향(지도교수 서강대학교 유현재 교수)’이라는 박사학위 논문에서 성인과 청소년 1형당뇨인 총 262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낙인을 결정짓는 세 가지 요소를 5점 척도로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정체성 문제’(성인: 3.58, 청소년: 3.07), ‘비난과 판단’(성인: 3.50, 청소년: 2.61), ‘차별 대우’(성인: 2.42, 청소년: 1.83) 등 모든 항목에서 성인 1형당뇨인이 청소년보다 사회적 낙인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김동석 대표는 “1형당뇨는 전 연령층에서 발병할 수 있는 만성질환임에도 소아당뇨로 잘못 불리는 등 성인 1형당뇨인은 사회적 관심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며 “성인 1형당뇨인이 직장 등 사회생활에서 자신의 질병에 대해 공개할 수 있는 사회적 환경 조성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사회적 지지와 관련된 연구에서는 가족 지지(성인: 4.16, 청소년: 4.5), 친구 지지(성인: 3.74, 청소년: 3.76), 의료진/동료 환자 지지(성인: 3.38, 청소년: 3.29) 등 청소년, 성인 모두 높은 수치를 보였다. 그러나 청소년 1형당뇨인의 경우 사회적 지지가 당뇨의 자가 관리 등 건강 행동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지만, 성인 1형당뇨인은 오히려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김동석 대표는 “1형당뇨인들이 제대로 치료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1형당뇨가 소아당뇨라는 잘못된 사회적 인식의 개선과 함께 중증난치질환으로 인정받는 등 정교하고 실질적인 사회적 지지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1형당뇨는 인슐린을 분비하는 췌장의 베타세포가 파괴되어 인슐린 분비 기능을 상실할 때 발병한다. 1형당뇨는 췌장을 이식하지 않는 한 완치되지 않으므로 평생 인슐린 주사를 맞아야 하며, 적절한 자가 관리를 하지 못할 경우 치명적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국내 1형당뇨인은 약 5만~6만여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해당 논문은 서강대학교 일반대학원 신문방송학과 박사 졸업 논문으로 제출되어 지난 해 12월 최종 인준되었다.
하수지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