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지넥스와 고려대 정아람 교수 연구팀은 고효율의 약물전달(drug delivery)을 위해 마이크로플루이딕 기반 약물봉입 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설명했다.
서지넥스는 AI(인공지능)로 최적화시킨 나노입자를 활용한 약물전달체계를 구축하는 회사로 나노입자 즉, 엑소좀 (exosome), 리포좀 (liposome) 및 지질나노입자 (lipid nanoparticle)등을 이용해 화학약물, 단백질, siRNA, 및 mRNA등을 전달하는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서지넥스는 이를 위해 오디세우스플랫폼을 개발완료했는데 이는 인공지능(AI)를 활용해 표적세포 및 비표적세포를 구분한뒤 표적세포에 고효율로 결합할 수 있는 표적나노입자를 개발하는 플랫폼이다. 서지넥스는 이 오디세우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각종 고형암(위암, 대장암, 췌장암 등)을 표적하는 표적나노입자를 개발중에 있다.
서지넥스는 이렇게 만들어진 표적나노입자내에 고효율로 약물 및 유전자를 봉입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던 중에 이 분야에 높은 기술력을 지닌 고려대 정아람교수팀과 협력하게 되었다는 설명이다.
고려대 정아람 교수가 이끄는 바이오의공학부는 바이오메디컬 신소재 (스캐폴드, 임플란트 등)를 개발하고 있으며 특히, 정아람교수의 나노 바이오 의약 전달 연구실(Nano Biodrug Delivery Laboratory)는 핵산 의약, 줄기세포 등 바이오 의약 및 백신 항원 전달체를 포함한 여러 의약 전달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서지넥스의 김세준 대표는 "고려대와 금번 연구협약을 계기로 원하는 조직이나 장기에 약물 및 유전자를 전달하는 약물전달시스템의 완성을 향한 큰 걸음을 걷게 되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또한 고려대 정아람 교수는 "바이오기술와 생체의공학기술이 접목되어 시너지효과가 창출될 것"이라고 "빠른 시간내에 기술을 완성할 것"이라고 입장을 밝혔다.
하수지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