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이런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고 휴식을 취해도 낫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일명 ‘브레인포그(brain fog)’라고 하는 머리에 안개가 뿌옇게 꽉 찬 것 같은 멍한 증상이다. 업무에 대한 기억력, 집중력도 감소하고 어지러움이 이어진다. 이어서 증상이 전신으로 점점 번져나가 팔과 다리에는 힘이 안 들어가고 전반적인 무기력이 찾아온다.

이처럼 뇌에 공급되는 산소가 부족해지는 이유는 목에 있는 내경정맥과 내경동맥 등이 좁아지는 협착에서 원인을 찾을 수 있다. 경직된 저작근육에 눌려 과민해진 턱신경이 목어깨 근육을 긴장하게 해 근육 아래 목혈관이 눌려 좁아지고 뇌혈류장애가 나타난다. 따라서 눌린 목혈관을 안정화시켜 뇌로 올라가는 혈액과 산소가 충분해져야 이런 증상도 개선이 된다. 문제를 뇌 자체에서만 찾지 말고 증상이 나타난 시작점, 목혈관부터 확인해야 치료가 가능한 것이다.
경직된 저작근육 속 턱신경이 통증유발점인 만큼 이상 신경 지점을 차단, 제거하는 신경차단술 등을 통해 효과를 볼 수 있다. 1회 10분 소요되는 이 시술은 통증을 유발하는 이상 신경을 차단하고 16개 저작근육을 이완시켜 눌린 목혈관까지 원복한다. 이처럼 뇌혈류장애, 뇌산소부족을 근본적으로 개선하여 브레인포그 등 증상도 개선됨을 경험할 수 있다. 절개 없이 이루어져 부담이 적으며, 시술 후 흉터나 상처 등을 걱정하지 않아도 되는 일상 회복이 빠른 치료법이라고 할 수 있다.
뇌에 충분한 산소와 혈액이 공급되어야 브레인포그 현상도 방지할 수 있으며 보다 정상적인 일상생활 영위가 가능하다. 통증의 원인을 찾을 수 없다면 이상신경을 찾아 차단하여 신경과 근육을 안정화시키는 것으로 개선해야 한다.
(글 : 루이빈치과 류지헌 원장 (통합치의학 전문의))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