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집단행동으로입은환자불편·피해사례보고중일부
전공의집단행동으로입은환자불편·피해사례보고중일부
한국환자단체연합회가 소속 9개 환자단체를 대상으로 전공의 집단행동으로 입은 환자 불편·피해 사례 보고를 조사한 결과 중증환자들에서 심각한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이들은 환자의 불안과 피해를 가중하는 의료계와 정부의 갈등 장기화에 강한 유감을 표명하며, 환자의 피해를 생각해 양측에서 유연한 자세로 협상해 달라고 호소했다.

한국환자단체연합회 25일 '전공의 집단행동으로 입은 환자 불편·피해 사례 보고' 조사결과와 함께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들은 2월 20일부터 촉발된 전공의 집단사직과 25일 전국 의과대학 교수들이 집단사직서 제출에 대해 “의과대학 교원이자 스승과 제자라는 관계를 생각하면 우려하는 지점이 무엇인지 충분히 이해되며, 전공의 의존도가 높은 수련병원에서 1개월 이상 버텨온 교수들이 과도한 업무로 인해 탈진 수준에 다다랐으리라는 점도 쉽게 짐작된다”면서도 “그러나 ‘이해한다’고만 말할 수 없는 것이 환자들의 현실”이라고 말했다.

연합회는 “절망스럽게도, 이제 그 우려는 속속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며 “지난 2월 26일부터 3월 20일까지 9개 소속 환자단체 회원들을 대상으로 환자 불편·피해 사례 모니터링을 진행한 결과, 31명의 환자가 진료 연기, 취소 등으로 인한 불편이나 불안, 피해를 실제로 겪고 있음이 드러났다”고 밝혔다.

또 “전공의가 사라진 병원에서 그나마 교수와 전임의(전문의), 간호사 등 남은 의료진이 버텨주어 환자들도 이만큼이나마 버틸 수 있었으나, 이제 교수마저 병원을 떠난다면, 환자들의 생명과 안전은 더는 보장받기 어려워질 것이며, 그로 인한 환자들의 피해는 걷잡을 수 없어질 것”이라고 걱정했다.

그러면서 “의료계와 정부는, 정말로 환자들이 제때 치료받지 못해 죽어 나가는 상황이 되어서야 이 비상식적인 사태의 종지부를 찍을 셈인가?”하고 물으며 “환자의 우리의 목숨은 의료계와 정부의 갈등으로 희생되어도 좋을 하찮은 목숨이 아니”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지금까지 대한민국의 의료시스템은 단 한 번도 환자중심으로 사고되거나 운영된 적이 없었고, 이번 의료대란도 그 연장선에서 벌어진 참극”이라며 “전공의가 사라지면 돌아가지 않는 수련병원은 의사에게도 환자에게도 나쁜 병원이며, 그것이야말로 환자중심이 아닌 병원중심 사고와 병원중심 운영의 결정적 증거”라고 지적했다.

이어 “윤석열 대통령이 24일 전공의 면허정지 처분에 유연한 처리 방안을 모색하라는 윤석열 대통령의 지시가 의료계와 정부의 극단적 대립 국면을 해소하는 출발점이 되기를 바란다”며 “의료진의 빠른 복귀는 물론이고 양측이 각자의 요구를 관철하기 위해서가 아닌, 환자중심의 의료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나설 것”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