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원을지대학교병원 내과 병동을 담당하는 교수의 핸드폰 알람이 쉴새 없이 울렸다. 동시에 7층 간호 병동에 있는 한 환자의 모니터에도 경고등이 켜졌다. 환자의 위험 상황을 조기에 예측하는 AI 솔루션이 해당 환자의 급성 중증 이벤트(심정지, 사망 등) 위험도를 예측해 알람이 울린 것. 의료진의 발 빠른 조치로 환자는 다시 안정을 되찾았다’

노원을지대학교병원이 환자 상태 악화를 조기에 예측하는 의료 AI 솔루션인 ‘AITRICS-VC(바이탈케어)’를 도입, 본격 운영에 나섰다.

노원을지대학교병원은 올해 초부터 시범운영 기간을 갖고, 4월부터 입원환자를 대상으로 적극 활용에 나서고 있다. 현재 일반 병동 입원환자 중 75% 이상이 해당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다.

병원이 구축한 진단시스템은 AI를 기반으로 환자들의 생체신호, 혈액검사 결과, 의식상태, 나이 등 총 19가지의 종합적인 데이터와 전자의무기록 데이터를 분석, 조기에 환자의 위험 상황을 예측한다.

노원을지대병원 전경 (노원을지대병원 제공)
노원을지대병원 전경 (노원을지대병원 제공)


특히 패혈증은 4시간 이내로, 급성 중증 이벤트(사망, 심정지, 예기치 않은 중환자실로 전실)는 6시간 이내로 예측할 수 있어 환자의 위기 상황을 미리 대비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유탁근 병원장은 “숙련된 의료진들의 판단과 AI를 기반으로 한 환자의 상태 악화 발생 위험도 정보가 더해져 의료 현장에서 예기치 못한 상황을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환자들의 안전을 강화하고 치료 효율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되는 의료시스템은 앞장서서 도입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