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킷헬스케어는 당뇨발 환자대상 피부 재생치료 플랫폼 말레이시아 임상결과가 국제 SCIE급 학술지 ‘Gels’에 게재됐다고 20일 밝혔다.해당 플랫폼으로는 인도, 한국, 미국 등에 이어 4번째 임상결과 발표다. 이번 학술지에는 ‘3D 바이오 프린트로 최소한으로 조작된 자가 지방 조직(3D-AMHAT)과 생분해성 스케폴드 역할의 피브린겔을 사용한 당뇨병성 족부궤양이식 기술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라는 논문제목으로 게시했다.로킷헬스케어는 지난 2021년 쿠알라룸프르 소재 말레이시아 국립 대학병원(National University of Malaysia Hospital)의 의료진과 만성 당뇨발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했다고 전했다. 임상연구 결과 기존 방법으...
뉴아인은 각막질환 치료를 목적으로 특허를 받은 신경자극 기술의 작용기전과 각막신경 재생 효과 등을 분석한 논문이 SCI급 국제학술지 ‘TVST(Translational Vision Science & Technology)’에 게재됐다고 20일 밝혔다.논문의 제목은 ‘Corneal Neuro-Regenerative Effect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in Rabbit Lamellar Keratectomy Model’이다. 삼성서울병원 정태영 교수와 임동희 교수 연구팀이 함께 연구에 참여했다.해당 동물실험에서 뉴아인은 전기자극이 각막신경 재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각막상피절제술(SLK)을 통해 토끼의 각막신경을 손상시킨 뒤, 안구 주변 신경에 특허받은 전기자극 파형을 적용했다....
프로테옴텍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19일 개최한 ‘2023년 제1회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 지정 인증서 수여식’에서 프로티아 알러지-Q 96M과 Q-STATION이 공공성 및 혁신성 등을 인정받아 우수연구개발 혁신제품으로 지정됐다고 19일 밝혔다.혁신제품으로 지정될 경우 해당 제품은 향후 3년간 수의계약 대상이 되며, 조달청 시범구매 사업에도 참여가 가능하다.회사 측에 따르면 혁신제품으로 지정된 프로티아 알러지-Q 96M는 병렬식 라인형 배열(PLA: parallel lines array) 기술을 활용해 보다 많고 다양한 알레르기 유발원인을 동시에 검사할 수 있는 제품으로, 1회 검사에 필요한 패널 수를 50% 가량 감소시키기 때문에 검사 소요시간과 검체...
바이오산업에서 항생제 사용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합성생물학연구센터 이대희 박사 연구팀은 항생제 없이도 바이오제조 공정에 사용할 유전자재조합 세포를 고감도로 선별하는 시스템 개발에 성공하였다고 밝혔다.이를 통해 바이오의약품, 바이오연료 등 바이오 제품 제조공정의 안전성을 높이고, 생산단가를 낮추는데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바이오산업의 성장을 이끈 기술 중 하나가 바로 유전자재조합 기술이다. 유전자재조합 기술이란 특정 유전자의 배열 순서를 바꾸거나 다른 유전자와의 조합을 통해 만들어진 새로운 유전자를 플라스미드(plasmid)라는 DNA 운반체에 싣고, 이...
현대바이오는 자사의 항암제 후보물질인 폴리탁셀(Polytaxel)과 이를 토대로 구현한 이른바 '무고통'(pain-free) 항암요법인 '노앨테라피'(NOAEL therapy)가 영국 왕립화학회(Royal Society of Chemistry)가 편찬하는 세계적 저널인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B'(JMCB)의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고 19일 밝혔다.'노앨 항암요법'(NOAEL Cancer Therapy)이란 제목의 이번 논문은 JMCB 1월 21일호 저널에 표지논문으로 실렸는데, 현대바이오가 난치암인 췌장암을 1차 타겟으로 개발한 폴리탁셀의 제조 과정, 항암 메커니즘, 효능 및 낮은 부작용 등을 상세히 담고 있다.폴리탁셀은 무기 고분자인 폴리포스파...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지난 18일 개최한 신년 IR 기업설명회를 통해 지난해 주요 사업 성과와 더불어, 올 한 해 목표로 하는 신약개발 사업 계획 및 전망에 대해 발표했다고 19일 밝혔다.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는 지난 한 해 핵심 임상 개발 과제의 양적∙질적 약진에 따라 사업 개발 측면에서도 협의 진전의 성과를 보였다고 말했다.회사에 따르면 폐암 표적치료제 파이프라인 BBT-176 및 BBT-207이 패키지 딜을 위한 ‘텀시트’ 기반의 주요 재무적 요건 등 구체적인 협상 단계에 접어 들었다. 특발성 폐섬유증 치료제로 개발 중인 BBT-877 또한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임상 2상 승인 하에 개발이 본격적인 궤도에 오르며 기존 파트너사들...
제넥신은 자궁경부암 DNA치료백신 GX-188E(성분명 티발리모진 테라플라스미드)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신속처리대상(FTD, Fast Track Designation) 첨단바이오의약품으로 지정돼 조건부허가신청자격을 확보했다고 밝혔다.최근 종료된 진행성 자궁경부암 임상시험의 전체 임상 2상 데이터를 평가한 결과 GX-188E는 신속처리대상의약품 지정 기준을 충족하였다. 신속처리대상의약품은 비임상 또는 임상 데이터를 통해 심각한 질병의 치료를 위한 의약품에 부여되며 미 충족 의료수요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입증해야 한다. 이는 약물이 보다 신속한 개발 및 인허가 절차를 통해 보다 신속하게 개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
케이메디허브(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는 지난 17일 신약 개발 및 의약품 산업의 진흥 및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면역세포치료제 및 의약품 개발을 할 예정이다.면역세포치료제는 3세대 항암치료제로 환자의 면역력을 길러 몸속 면역세포가 암세포와 싸울 수 있도록 돕는 항암제다.양 기관은 협약에 따라 △면역세포 치료제 공동 연구 및 개발 △임상시험용 의약품 공동 연구 △공동 세미나 개최 및 국가연구 과제 협력 등을 하기로 약속하였다.양진영 케이메디허브 이사장은 “우리나라 사망원인 1위인 암 치료제 연구를 실력있는 기업과 함께 추진하여, 신약 개발에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지피씨알은 자사의 조혈모세포가동화제 후보물질인 ‘GPC-100’의 2상 임상시험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심사를 거치고 본격적으로 개시되었다고 18일 밝혔다.이번 임상에서는 혈액암의 일종인 다발성골수종 환자 총 40명을 대상으로 조혈모세포이식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조혈모세포가동화제의 효능을 평가할 계획이다.지피씨알은 본 임상에서 자사의 CXCR4 억제제인 GPC-100과 베타-2 아드레날린 수용체 억제제의 일종인 프로프라놀롤(propranolol)을 병용으로 투여하여 조혈모세포이식 과정에서의 G-CSF 의존도를 낮추고 나아가 G-CSF 없이 조혈모세포를 가동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전했다.지피씨알 연구진들은 CXCR4 억제제가...
아이진은 지난 17일 당뇨망막증 치료제 'EG-Mirotin(이지-미로틴)’의 국내 임상 2상 시험에 대한 연구 결과 논문이 국제학술지 'Medicina'(이하 메디치나)에 게재됐다고 밝혔다.'메디치나'는 1920년도부터 발행되었으며 세계적으로 공신력을 인정받는 상위 저널로서 안과학부터 종양학까지 질병의 예방, 치료 등 의학기술을 증진시키기 위해 스위스의 MDPI(Multidisciplinary Digital Publishing Institute)에서 발간되는 대표적인 의료 학술지 중 하나이다.본 논문의 제목은 "A Nonrandomized Phase 2 Trial of EG-Mirotin, a Novel, First-in-Class, Subcutaneously Deliverable Peptide Drug for Nonproliferative Diabe...
시지바이오는 차세대 높이확장형 케이지(Expandable cage) ‘엑센더(Excender)’를 출시했다고 18일 밝혔다.척추를 고정하는 척추 유합술은 내부 또는 외부 요인에 의해 손상된 디스크를 제거하고, 디스크의 높이와 각도를 대체하는 구조물인 케이지(Cage) 내에 골대체재를 채워 디스크 자리에 삽입해 위 아래 척추가 하나의 뼈로 유합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하지만 실제 임상 현장에서 의료진이 척추 사이 공간에 케이지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높이가 2~5mm에 불과한 매우 좁은 틈을 통해 접근해야 하며, 디스크 본래의 높이를 회복할 수 있도록 9~14mm 높이의 케이지를 삽입해야 한다.그러나 기존에 출시된 큰 크기의 케이지는 좁은 틈으로의...
에이비온이 개발 중인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ABN401’의 글로벌 임상2상 대상자에 대한 첫 투여를 완료했다고 18일 밝혔다.미국과 한국에서 진행되는 ‘ABN401’ 글로벌 임상2상은 첫 코호트(단독요법, exon14결실)를 대상으로 한다. 코호트1은 c-MET변이 환자 중 exon14유전자 결실군에 대해 뛰어난 안전성을 기반으로 빠르게 시장을 돌파하기 위한 단독요법이다. 특히 이번 임상2상 참여 병원 중에는 폐암 분야에서 권위 높은 미국 ‘엠디앤더슨암센터(MD Anderson medical center)’도 포함되는 등 ‘ABN401’에 대한 임상의학자들 높은 관심이 반영됐다는 평가다.‘ABN401’ 임상2상의 코호트1은 최소 40명의 환자를 목표로 진행하고 있으며...
뉴아인은 cb-TENS의 작용기전과 안면신경 재생 효과 등을 분석한 논문이 SCI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고 밝혔다.사이언티픽 리포트는 ‘네이처(Nature)’에서 출간하는 국제 학술지로, 생물, 물리, 화학, 의학 등 자연과학 분야 전반을 다루는 학술지이다.논문의 제목은 ‘The effect of charge-balanced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on rodent facial nerve regeneration’이다. 삼성서울병원 이비인후과 조영상 교수 연구팀과 공동 연구를 수행한 결과이다.뉴아인은 손상된 안면신경의 구조적, 기능적 회복을 확인하기 위해 쥐의 안면신경을 손상시킨 뒤, 안면신경이 위치한 부위에 ...
엘에스케이글로벌파마서비스(LSK Global Pharma Services Co., Ltd.; 이하 LSK Global PS)는 지난 11일 임상시험 수탁 대행서비스 전범위에 걸쳐 정보보안경영시스템(Information Security Management System) 국제 표준인증인 ‘ISO 27001’인증을 획득했다고 18일 밝혔다.ISO 27001인증은 국제표준화기구(ISO) 및 국제전기기술위원회(IEC)에서 제정한 정보보안 관리체계의 국제 표준규격으로, 정보보호정책, 통신·운영, 접근통제, 정보보호사고 대응 등 정보보호 관련 14개 관리 영역의 144개 세부 항목을 평가하는 정보보안 분야의 가장 권위있는 인증이다. 이 인증은 회사가 정보자산의 기밀성, 무결성, 가용성을 보호하기 위한 프로세스를 ...
에스바이오메딕스는 파킨슨병 세포치료제 개발의 핵심기술 중 하나인 “줄기세포로부터 도파민 신경세포 고수율 생산 및 대량 분화 방법”에 대한 특허를 국내외에 등록하였다고 18일 밝혔다.본 기술은 배아줄기세포 및 iPS세포로부터 분화 생산된 도파민 신경전구세포를 파킨슨병 치료에 적용하기 위한 핵심기술로 국내 특허 등록 후 최근 일본과 호주에서 연이어 특허 등록 결정을 통보받았다. 이외에도 현재 미국, 유럽을 비롯하여 중국, 홍콩, 인도, 캐나다, 러시아 등에서도 등록 심사가 진행 중이다.에스바이오메딕스에 따르면 본 기술은 3차원 분화 유도 방법을 적용해 중뇌 도파민 세포의 고수율 및 대량생산이 가능한 기술이며, 1회 분화...
프로테옴텍이 자가면역질환 복합진단검사 키트인 ‘프로티아 ANA Profile’에 대해 식약처 허가를 획득했다고 17일 밝혔다.프로테옴텍의 ‘프로티아 ANA Profile’은 신규 파이프라인으로써, 라인블롯 방식의 검사법을 사용해 극소량의 혈청 또는 혈장만으로도 18종의 자가면역 질환자에게서 발견되는 전신 자가항체(Auto Antibodies)를 검사하는 제품이다.프로테옴텍은 자가면역질환의 원인이 되는 여러 항체를 개별적으로 검사하는 기존 자가면역질환 진단검사 제품들의 단점을 보완해 다중진단이 가능한 기술 개발에 성공했으며, 해당 기술을 접목시켜 ‘프로티아 ANA Profile’를 개발했다. 특히 민감도와 특이도가 기존 검사법 대비 높고 비...
서울시 보라매병원 알레르기내과 양민석 교수가 최근 인공 지능(AI)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침 소리를 식별하는 ‘스마트폰 기반 기침 모니터링 애플리케이션’ 연구에 참여하였다.기침 연구에 가장 어려운 점 중 하나는 기침의 정도를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현재까지는 일상적인 진료 상황이 아닌 신약 연구 등의 특수한 경우조차 환자가 불편한 장치를 착용하고 24시간 동안 주변 소음을 녹음하면 그 녹음 파일을 사람이 일일이 세는 방법으로 밖에는 기침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라매병원 알레르기내과 양민석 교수팀과 사운더블헬스사에서는 지속적으로 환자의 주변 소리를...
에스씨엠생명과학(SCM생명과학)이 지난 9일부터 12일까지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개최된 ‘2023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에 참가해 해외 제약바이오 기업들과 비즈니스 미팅을 진행했다고 16일 밝혔다.회사 관계자는 “줄기세포 분리∙배양에 대한 원천기술 ‘층분리배양법’과 급성 췌장염, 아토피피부염, 만성 이식편대숙주질환 등 주력 줄기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 임상 성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빅마파를 비롯한 해외 유수 기업들과 심도 있는 미팅을 진행했다”면서 “이를 통해 기술이전, 글로벌 임상, 해외 시장 진출 등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글로벌 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라고 밝혔다.또한 JP모건 헬스케어 컨퍼런스 부대 행사로 진행...
한국제약바이오협회와 한국스마트헬스케어협회,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 첨단재생의료산업협회 등 6개 단체는 ‘한국제약바이오헬스케어연합회’를 결성했다고 16일 밝혔다.이들 6개 단체 대표들은 지난 13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초도 모임을 가진 뒤 연합회 출범을 공식화했다. 참여 단체들은 각 회원사들과 함께 제약바이오헬스케어 관련 산업계의 발전과 대국민 인식 제고를 비롯, 산업계 현안 관련 정부‧국회 등에 대한 적극적인 의견 제시 등을 위해 노력키로 했다.주요 활동 방향으로는 ▲제약바이오헬스케어산업에 대한 과감한 정부 육성·지원방안 마련 및 ...
휴스파인이 세계 IT·가전 전시회인 ‘CES 2023’에 참가해 인공지능을 활용한 척추 감압 견인기를 소개했다고 16일 밝혔다.이번 CES 2023은 현지 시간 기준 지난 1월 5일부터 8일까지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개최됐으며, 174개국 3200개의 기업이 전시에 참여했다.휴스파인의 AI 척추 감압 견인기는 그동안 병원에서 활용하던 허리 감압 견인기를 가정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콤팩트한 디자인에 재활과학 기반 기술을 집약한 제품이다. 특히, 척추 질환자의 근육 긴장도를 AI로 센싱하여 환자 맞춤형으로 적용하는 척추 감압(spinal decompression) 기능이 탑재되어 있다.이상헌 휴스파인 CTO(고려대 안암병원 재활의학과 교수)는 “휴스파인의 허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