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미국의 러시 대학 메디컬센터 알츠하이머병 센터(Alzheimer's Disease Center)의 패트리셔 보일 신경심리학 교수 연구팀이 935명의 건강한 노인을 대상으로 약 6년 동안 진행됐다.
935명의 노인은 모두 치매가 없는 상태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연구팀은 5가지 설문조사를 이용하여 사기 경각심을 측정. 평균 2.8점 정도 유지하면 전체 중 151명이 치매 진단을 받았고 255명이 경도인지장애 진단을 받은 것을 확인했다.
설문조사 점수가 낮을 수록 사기 경각심이 떨어지는 것을 뜻하는데, 이러한 점으로 미뤄보아 사기 경각심이 낮은 그룹일수록 치매 위험도는 56%, 경도인지장애 위험은 무려 47%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에 그치지 않고 연구 기간 중 사망한 264명의 부검 자료도 분석했는데, 그 결과 사기 경각심이 떨어질수록 뇌 신경세포의 독성 단백질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가 많이 형성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치매의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의 내과학회 학술지 '내과학 회보'(Annals of Internal Medicine) 최신호(7월 3일 자)에 실렸다.
임혜정 기자
hyejeong@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