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비씨 뉴스(BBC NEWS)의 보도에 따르면 영국 웰컴 생어 연구소(Wellcome Sanger Institute)와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이 장기간 흡연을 했다 하더라도 금연 시 폐 기능을 상당 부분 회복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그동안 흡연으로 손상된 폐 세포는 금연 후에도 이어지는 것으로 여겨지던 것과 정 반대되는 연구 결과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40년 동안 하루에 담배를 한 갑씩 피우던 이들조차 금연을 시작한 뒤에는 폐 세포가 회복된다는 것이 밝혀졌다.
흡연자의 기도에서 채취한 세포 중 대부분은 담배에 의해 변이되었고, 최대 1만 개의 유전자 세포가 변형되어 있었다.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의 연구원 케이트 고워스 박사는 이 변형된 세포들을 ‘암으로 발전하기를 기다리는 폭탄’에 비유했다.
그런가 하면 흡연에도 손상되지 않은 세포도 존재하는데, 이번 연구에서는 정확히 어떻게 흡연으로 인한 유전적 변화를 피할 수 있었는지는 분명하지 않지만, 연구원들은 이러한 세포로 인해 금연 후 손상된 폐 세포가 활성화할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영국 암 연구소의 레이첼 오리트 박사는 "담배와 관련된 폐세포의 손상을 더 방지하고 폐에 기존의 손상 중 일부를 건강한 세포와 균형을 맞출 수 있는 기회를 줌으로써 흡연을 중단하는 사람들이 두 번 이상 혜택을 누릴 수 있다는 것은 정말 동기부여적인 생각이다."라고 말했다.
천혜민 기자
hyemin@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