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응급임상은 지난해 8월, 하버드 의대 부속병원의 루게릭 전문의 쿠드코비치 박사의 제의로 진행되었으며, 코아스템 측은 해당 병원과 협력하여 같은 해인 11월에 미 FDA로부터 응급임상 승인을 받아 준비해왔다.
코아스템 관계자에 따르면 코아스템 측은 응급임상 의약품 공급자 역할로서 국내에서 세포 배양 및 치료제를 생산하여 항공운송을 통해 하버드 의대 부속병원으로 이송되어 현지 담당의가 직접 투여를 하였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금번 응급임상을 통하여 임상기간에도 현지에서 치료받을 수 있는 방법이 확보되었다고 밝히고 미국 내 환자들에게도 ‘뉴로나타-알주’의 인지도가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또한 코아스템 측은 올해 하반기부터 ‘뉴로나타-알주’의 생산 과정에 적용할 예정인 냉장 보존제를 통하여 보관 및 이송기간이 대폭 증가할 경우 미국 내 생산설비투자를 하지 않고 국내에서 생산 및 공급하여 생산원가의 절감이 가능하다고 예상했다.
루게릭병 치료제인 ‘뉴로나타-알주‘는 현재 국내에서만 판매허가를 받은 상태였기에 그 동안 외국인 환자들이 국내로 방문하여 치료를 받아 왔으나 COVID-19 상황이 악화되면서 외국인 환자들의 치료방문이 쉽지 않았다.
이번 응급 임상과 관련하여 코아스템 김경숙 대표는 “코로나 상황으로 치료를 제대로 받지 못하는 해외 환우 분에게 투여가 무사히 진행 될 수 있게 되어 진심으로 기쁘다.”라고 전하며 “향후 추가적인 논의를 통해 미국 내 투여를 희망하는 환우들에게 금번 응급임상에서 확보된 방법을 통해 적극 협조 하겠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김 대표는 “이번 임상은 해외 환우분의 치료에 도움을 드렸을 뿐만 아니라 코아스템 독자적으로 북미시장의 진출가능성을 탐색 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였다.”라고 말하며 “향후 미국 시장 내 인지도 상승뿐만 아니라 ‘뉴로나타-알주’의 가치를 보다 더 높이는 데 주력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임혜정 기자
webmaster@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