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인공아체세포 기반 재생치료 기술개발사업단은 16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인공아체세포 기반 재생치료 기술개발사업 연구성과교류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이번 행사에서는 인공아체세포 유도기술을 바탕으로 한 퇴행성·난치성 질환 치료 가능성을 모색하고, 최신 연구성과를 공유하는 자리가 마련된다. 인공아체세포는 도룡뇽 등 양서류의 조직 재생 능력을 모사해 포유류에서도 조직을 재생할 수 있도록 한 첨단 재생의료 기술이다.행사에서는 범부처재생의료기술개발사업단 조인호 단장의 재생의료 전략 발표와 문한림 메디라마 대표의 기초·임상 연계 강연이 진행된다. 이어 본 사업단의 연구책임자들이 인공아체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김장성, 이하 생명연)이 인공아체세포(Artificial blastema cell, ABCs)를 활용한 재생치료 원천기술 확보에 나섰다고 밝혔다.아체세포(blastema cell, 芽體細胞)는 양서류, 제브라피시와 같은 하등 동물에서 조직 재생을 담당하는 세포로, 꼬리가 잘려도 재생되는 도마뱀의 재생능력이 바로 아체세포에 의한 것이다.인간과 같은 포유류의 경우 아직 아체세포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이미 분화를 끝낸 세포에 유전자나 화합물 형태의 아체세포 유도인자를 첨가하여 원하는 세포로 리프로그래밍하는 직접교차분화 기술을 통해 인공적으로 제작할 수 있다.이러한 인공아체세포 기반의 재생의료기술은 역분화줄기세포 재생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