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런데 최근 숙면과 관련한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등장해 눈길을 끌고 있다. 메디컬 뉴스 투데이에 따르면 미국 일리노이 대학 어바나 샴페인 캠퍼스의 한 연구팀이 ‘낙천적인 성격이 더 잘 잔다’라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로잘바 에르난데스 박사가 이끈 이 연구진은 CARDIA(Coronary Artery Risk Development in Young Adults) 연구에 참여한 32세~51세 성인 3,548명을 모집했다. 연구진은 리커트 척도를 이용해 참가자들의 성격을 파악하는 한편, 참가자들 스스로 규칙적으로 잠을 잔 시간과 불면증 증상을 5년 간격으로 보고하도록 했다. 일부 참가자는 피츠버그 수면품질지수와 엡워스 수면성 척도를 검사하기도 했다.
그 결과, 낙관적인 성격을 가진 이들일수록 잠을 충분히 잘 가능성이 높았고, 이들 중 74%가 불면증에 걸릴 가능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에르난데스 박사는 “이 연구 결과는 개인의 건강상태, 우울증, 사회생태학적 특성과 수면의 양상 사이에 상당한 연관성이 있음을 보여준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박사는 “낙천적인 사람들이 더 잘 잘 수 있는 것은 이들이 문제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처하려 하며, 스트레스를 받았을 때 보다 긍정적인 방식으로 해결하려 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라고 해석했다. 걱정거리가 없으므로 뜬눈으로 밤을 지새울 일도 없다는 것이다.
날로 불면증 환자가 늘어나는 한국 사회에서 낙천적인 사고방식은 한국인들의 수면의 질과 더 나아가 수면과 관련한 각종 건강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도 중요하다. 잠에 쉽게 빠져들게 하는 베개 백 가지보다 스트레스를 줄이고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훈련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천혜민 기자
hyemin@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