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메디컬뉴스투데이(Medicalnewstoday)의 보도에 따르면 영국 워릭대학교 연구진은 심박수 측정만으로 저혈당 수치를 알아내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
연구진은 18명의 실험 참가자들에게 AI 센서가 내장된 소형 심전도 모니터를 제공했다. 실험 참가자들은 약 2주간 매일 모니터를 손목이나 심장 가까이 부착하며 지냈다. 스마트 워치 정도 무게의 이 모니터는 AI 센서가 내장되어 있어 심장이 뛸 때마다 체내 포도당을 관찰할 수 있다. 혈중 포도당의 증가·감소를 측정해 고혈당으로 가는 위험성을 미리 인지하고 알려주는 것이다.
연구원들은 환자들의 혈당 수치가 리터 당 4밀리몰 아래로 떨어질 때 심전도 수치는 어떻게 변하는지 조사했다. 또한 AI 센서가 측정한 혈당 수치가 일반적인 방법으로 잰 수치와 같은지도 조사했다. 그 결과 약 87%의 성공률을 보였다.
AI 센서 심전도 모니터의 장점 중 하나는 각 환자마다 다른 혈당수치를 데이터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모니터에 내장된 AI 알고리즘은 환자가 원하기만 하면 자신의 병원 주치의에게 실시간으로 업데이트 된 혈당수치를 알려준다.
연구팀은 “AI 기술을 이용한 소형 모니터 판매를 상용화한다면 피를 보지 않고도 자신의 혈당을 정확히 알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무엇보다 유약한 소아 당뇨 환자들을 위해 이 실험은 100% 성공률에 도달할 때까지 더 많은 인원을 투입해 계속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임혜정 기자
hyemin@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