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부족, 각종 부정적 감정의 원인

헬스데이(healthday) 뉴스는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교의 잉글비드 삭스빅 레우유일러 박사 연구팀은 59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를 저널
연구팀은 봉사자들에게 7일 동안 각자의 침대에서 평소대로 잠을 자게 한 다음 14분 동안 컴퓨터 화면에 300장의 이미지를 보여주고 그림에 X표시가 되어 있지 않을 때 마다 스페이스바를 누르게 했다.
또 이들에게 3일 동안 평소보다 2시간 적게 자도록 한 후 마찬가지로 같은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적게 잠을 잔 경우 이들이 스페이스바를 누르는 반응시간은 빨랐지만, 더 많은 실수를 했다. 레우유릴러 박사는 “이번 실험을 통해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한 상황에서는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등의 일은 피하는 것이 현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연구팀은 봉사자들이 잠을 자고 난 뒤 매일 간단한 시험을 봤는데, 수면 시간이 줄어든 후에는 계속 점수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또한 대상자들의 감정 변화도 살폈는데, 수면시간이 줄어들면 부정적인 감정이 더욱 도드라지는 것도 확인했다.
레우유일러 박사는 “모든 사람이 7~8시간을 자야하는 것은 아니다”면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자고 일어난 후의 감정이다. 자고난 후 기분이 상쾌하고 잘 잤다는 느낌이 들면 당신의 수면 습관이 좋은 것으로 간주하면 된다”고 덧붙였다.
하수지 기자
suji@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