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해당 실험에서 위약대조군에는 용매만 처리했고, 양성대조군에는 불안 치료에 쓰이는 향정신성 의약품 디아제팜(Diazepam)이 투약됐으며, 실험군에는 VVZ-2471이 경구 투여됐다. 실험 결과, 개방공간에 머무르는 시간(Time into open arms)이 디아제팜 처리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VVZ-2471 처리군에서도 통계적 유의성을 갖고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우울 작용에 대한 연구는 쥐(Mouse)를 이용한 꼬리매달기 실험(Tail Suspension Test)으로 진행됐다. 이는 쥐의 꼬리를 매달아 부동시간(immobility time)을 측정하는 것으로 약물의 항우울 효과를 연구하는데 주로 쓰이는데, 부동시간이 감소할수록 항우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다.
위약대조군은 용매만 처리했고, 양성대조군에는 선택적 세로토닌 억제제(SSRI) 계열의 항우울제 플루옥세틴(Fluoxetine)이, 실험군에는 VVZ-2471이 경구로 투여됐다. 실험 결과, VVZ-2471을 투여한 실험군에서 부동시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현상이 관찰됐고, 이는 대표적 항우울제인 플루옥세틴 처리군과 동등 수준의 약효로 확인됐다.
비보존 이두현 회장은 “VVZ-2471은 기존에 확인한 신경병증성 통증 제어 효과와 더불어 최근 확인된 약물 중독에 이어서, 불안, 우울의 제어 효과까지 있는 것으로 확인돼, 앞으로의 기대가 크다”며 “빠르게 비임상 시험을 완료한 후 임상시험에 진입할 수 있도록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