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HD는 경험이 풍부한 의료진의 면담과 행동 관찰, 다양한 설문지를 통한 임상적 평가를 통해 정확히 진단해야 한다. 이지은 원장은 "특히, 산만함과 ADHD는 증상이 유사하지만, ADHD는 과잉행동과 주의력 결핍이 동시에 나타나거나 주로 한 가지 증상이 두드러지므로 이를 구별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ADHD 아동의 뇌는 대개 대뇌피질이 얇고, 전두엽 기능이 약해 충동적인 행동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한의학에서는 ADHD를 두뇌와 신체의 불균형으로 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한약, 침, 약침, 추나, 두뇌 훈련 등을 활용한 복합적인 치료법을 적용한다. 이러한 치료는 신경전달물질의 기능을 활성화시키고, ADHD 증상을 자가 조절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를 통해 아동은 심리적 안정과 신체 건강의 전반적인 개선을 경험할 수 있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