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팀은 관상동맥 중재시술을 받는 심혈관 질환자 40명을 대상으로 OCT-FLIm 융합영상 시스템을 활용해 고위험 동맥경화반의 병태생리학적 조성을 정밀 분석하고, 영상 기술의 진단 유효성과 시술 안전성을 입증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심장학 분야 권위지 JAMA Cardi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기존의 OCT나 혈관내 초음파(IVUS)는 구조적 분석에는 강점을 보이지만, 염증·치유반·칼슘 침착 등 병변 내 생물학적 성분을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반면, FLIm은 생체 조직이 방출하는 고유한 형광 신호를 분석해 병변 조성을 실시간으로 영상화할 수 있어 새로운 분자영상 진단법으로 주목 받아왔다.


공동 제1저자인 강동오, 남형수, 김선원 교수는 “융합영상 기술을 통해 심혈관 병변의 정밀 분석이 가능해지면서 개인 맞춤형 진단과 치료 평가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게 됐다”고 밝혔다.
연구 책임자인 김진원·유홍기 교수는 “이번 연구는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된 융합영상 시스템을 임상에 성공적으로 적용한 사례로, 진단기기 기술의 자립성과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한 중요한 성과”라며, “향후 심혈관 질환의 조기 진단 및 맞춤 치료 플랫폼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