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원·강동오 고려대 구로병원 심혈관센터 교수와 유홍기·남형수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광간섭 단층촬영(OCT)’과 ‘형광수명영상(FLIm)’을 결합한 심혈관 융합영상 기술을 세계 처음으로 인체 임상에 적용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관상동맥 중재시술을 받는 심혈관 질환자 40명을 대상으로 OCT-FLIm 융합영상 시스템을 활용해 고위험 동맥경화반의 병태생리학적 조성을 정밀 분석하고, 영상 기술의 진단 유효성과 시술 안전성을 입증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심장학 분야 권위지 JAMA Cardiology 최신호에 게재됐다.

기존의 OCT나 혈관내 초음파(IVUS)는 구조적 분석에는 강점을 보이지만, 염증·치유반·칼슘 침착 등 병변 내 생물학적 성분을 정량적으로 파악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반면, FLIm은 생체 조직이 방출하는 고유한 형광 신호를 분석해 병변 조성을 실시간으로 영상화할 수 있어 새로운 분자영상 진단법으로 주목 받아왔다.

(좌측부터) 김진원·강동오 고려대 구로병원 심혈관센터 교수, 유홍기·남형수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교수, 김선원 고려대 안산병원 교수 (고대구로병원 제공)
(좌측부터) 김진원·강동오 고려대 구로병원 심혈관센터 교수, 유홍기·남형수 카이스트 기계공학과 교수, 김선원 고려대 안산병원 교수 (고대구로병원 제공)
(위) 임상적 질환 상태별 관상동맥 동맥경화반의 염증 활성도 평가, (아래) 급성 진행성 병변에서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치유반 신호의 영상화 (고대구로병원 제공)
(위) 임상적 질환 상태별 관상동맥 동맥경화반의 염증 활성도 평가, (아래) 급성 진행성 병변에서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치유반 신호의 영상화 (고대구로병원 제공)
연구팀은 이번 임상에서 OCT-FLIm 기술을 활용해 급성 심근경색 환자에서는 염증 수치가 높고, 반복된 경화반 파열이 있는 병변에서는 치유반이 광범위하게 나타나는 등 환자의 임상 상태에 따라 병변 특성이 달라지는 양상을 구체적으로 확인했다.

공동 제1저자인 강동오, 남형수, 김선원 교수는 “융합영상 기술을 통해 심혈관 병변의 정밀 분석이 가능해지면서 개인 맞춤형 진단과 치료 평가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게 됐다”고 밝혔다.

연구 책임자인 김진원·유홍기 교수는 “이번 연구는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된 융합영상 시스템을 임상에 성공적으로 적용한 사례로, 진단기기 기술의 자립성과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한 중요한 성과”라며, “향후 심혈관 질환의 조기 진단 및 맞춤 치료 플랫폼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