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400억 투입 ‘스리시티 대공장’ 착공…노이다·푸네 이어 제3 생산거점 구축…글로벌 사우스 공략 ‘가속 페달’

LG전자가 인도에 건설하는 스리시티 가전공장은 부지 100만m2, 연면적 22만m2 규모로 들어선다. <사진출처=LG전자>
LG전자가 인도에 건설하는 스리시티 가전공장은 부지 100만m2, 연면적 22만m2 규모로 들어선다. <사진출처=LG전자>
LG전자가 ‘인도의 국민 브랜드’ 도약을 본격화하며, 인도에서 세 번째 가전 공장을 짓는다. 세계 최대 인구 대국이자 빠른 경제성장을 거듭하고 있는 인도를 중심으로, LG전자는 글로벌 사우스 시장 공략의 속도를 높인다.

LG전자는 8일(현지 시각), 인도 남동부 안드라프라데시주(州) 스리시티(Sri City)에서 약 6억 달러(한화 약 8400억 원)를 투입하는 신공장 착공식을 가졌다. 이날 행사에는 나라 로케시 인적자원개발부 장관, 텀발람 구티 바라트 산업부 장관, LG전자 류재철 HS사업본부장(사장), 이재성 ES사업본부장(부사장), 전홍주 인도법인장(전무) 등이 참석해 대규모 투자의 포문을 열었다.

스리시티 가전공장은 부지 100만㎡(약 30만평), 연면적 22만㎡(약 7만평) 규모로, 연간 생산 능력은 ▲냉장고 80만대 ▲세탁기 85만대 ▲에어컨 150만대 ▲에어컨용 컴프레서 200만대에 달한다. 2026년 말 에어컨 제품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생산에 돌입하며, 2029년까지 단계적으로 전 품목 생산라인을 가동할 계획이다.

국민 브랜드로 ‘우뚝’…스리시티는 ‘교두보’

LG전자의 이번 투자는 ‘글로벌 사우스’로 불리는 신흥시장 공략 전략의 핵심 축이다. 인도는 빠른 경제 성장률, 낮은 가전 보급률, 세계 최대 인구라는 3대 요소를 갖춘 잠재력 높은 시장이다. 현재 인도의 세탁기 보급률은 30%, 에어컨은 10% 수준에 그쳐 성장 여력이 매우 크다.

LG전자는 기존 노이다, 푸네 공장만으로는 수요 증가에 충분히 대응하기 어렵다고 판단했다. 특히, 프리미엄 제품을 찾는 인도 중산층과 인접 국가 수출 수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남부 항만도시 첸나이 인근 스리시티를 새 생산거점으로 낙점했다. 지리적으로 인도양과 인접해 수출에도 유리하며, 남부 내수 공급망 확장에도 적합하다.

생산 제품 역시 프렌치도어 냉장고, 드럼세탁기 등 프리미엄 라인업에 초점이 맞춰진다. LG전자는 스리시티 공장을 중심으로 인도는 물론, 방글라데시·스리랑카 등 남아시아 및 중동 수요까지 아우를 계획이다.

생활 밀착형 전략…현지 맞춤 기술로 ‘차별화’

LG전자는 생산력 확대를 넘어 현지 생활 방식에 맞춘 제품과 차별화된 서비스로 경쟁력을 끌어올리고 있다. 전통 의상인 ‘사리(Saree)’에 적합한 세탁 코스를 탑재한 전용 세탁기, 냉동실을 냉장실로 전환할 수 있는 ‘컨버터블 냉장고’ 등은 현지 소비자 사이에서 뜨거운 호응을 얻고 있다.

판매와 사후 서비스 인프라도 탄탄하다. LG전자는 인도 전역에 브랜드샵 700여곳, 서비스센터 900여곳을 운영 중이며, 12개 언어로 응대하는 고객 상담 서비스를 제공해 소비자 접근성을 대폭 끌어올렸다.

류재철 LG전자 HS사업본부장은 “스리시티 가전공장 착공은 인도 국민 브랜드로 도약하겠다는 LG전자의 전략적 의지를 담은 이정표”라며 “현지 밀착형 혁신 제품과 공고한 공급망을 기반으로 인도 최고 브랜드로 우뚝 설 것”이라고 밝혔다.

스리시티 신공장 개요

위치: 인도 안드라프라데시주 스리시티(Sri City)

투자 규모: 약 6억 달러 (한화 약 8,400억 원)

부지/연면적 부지: 100만㎡ / 연면적 22만㎡

생산 개시: 2026년 말 에어컨부터 순차 가동 예정

연간 생산능력: 냉장고 80만대, 세탁기 85만대, 에어컨 150만대, 에어컨 컴프레서 200만대

주요 생산품: 프렌치도어 냉장고, 드럼 세탁기 등 프리미엄 제품

공장 목적: 인도 및 인접 국가 수요 대응, 프리미엄 시장 공략, 공급망 강화

기타 특징: 남부 해안 인접…수출입 및 물류 유리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