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결과, 수면무호흡증 환자 혈당 증가 확인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은 잠들면서 혀 근육의 긴장도가 떨어져 반복적으로 상기도 막힘으로 숨을 쉬지 못하며, 이로 인해 산소포화도 저하, 반복적인 각성이 나타나는 수면장애로, 40세 이상의 남자에서는 27%, 여성에서는 16.5%에서 발생하는 흔한 수면장애이다. 수면은 하루의 컨디션을 좌우할 뿐 아니라 심뇌혈관질환, 대사성 질환과 사망률을 높일 뿐만 아니라 당뇨병에도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제공,신경과신원철교수
강동경희대학교병원제공,신경과신원철교수
수면무호흡증의 당뇨병 기전 밝혀져
필자와 강동경희대병원 신경과 변정익 교수, 내분비내과 정인경, 전지은 교수 연구팀이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해 잦은 각성과 이로 인한 교감신경계 항진이 당뇨병을 일으키는 기전을 밝혀냈다. 72시간 혈당 모니터링이 가능한 CGMS 장비를 이용하여, 기존에 당뇨병이 없는 수면무호흡증 환자와 정상군에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수면을 측정하면서 지속해서 혈당 변화를 측정하여 양군 간의 혈당 변화를 연구하였다.

수면무호흡증 환자, 수면 시에도 혈당 지속 증가
연구 결과, 정상군과 경미한 수면무호흡증 환자군은 잠든 후에 혈당이 지속해서 떨어지는 것이 관찰되었으나, 중등도 이상의 심한 수면무호흡증 환자군은 잠든 후에, 혈당이 점차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임상시험대상자들은 기존에 당뇨병이 없었고, 깨어 있을 때 측정한 혈액검사에서도 혈당은 정상이었다. 본 연구는 2020년 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되었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제공,그래프:폐쇄성수면무호흡증이없거나경미한환자군과중증환자사이의야간포도당동적변화수치(지속적인포도당모니터링장치로5분마다포도당을측정)왼쪽:수면시작부터수면시작후145분까지/오른쪽:깨어나기145분전부터깨어남까지
강동경희대학교병원제공,그래프:폐쇄성수면무호흡증이없거나경미한환자군과중증환자사이의야간포도당동적변화수치(지속적인포도당모니터링장치로5분마다포도당을측정)왼쪽:수면시작부터수면시작후145분까지/오른쪽:깨어나기145분전부터깨어남까지
수면으로 뇌 활동 떨어지면 혈당 수치도 떨어져야 정상
잠을 자는 동안에는 신체의 기능뿐만 아니라 뇌의 기능, 활동성이 떨어져 잠자는 동안 80~120Kcal만 소비하게 되며 체내의 포도당이 필요하지 않아 에너지가 보존된다. 따라서, 잠을 잘 자고 중간에 깨지 않으면 몸에서 포도당 소모가 최소화되고 몸에 저장된 포도당의 공급이 필요하지 않게 됨으로써, 잠든 뒤로 혈당이 점차 떨어지게 된다.

수면무호흡증으로 뇌 반복해서 깨면서 에너지 공급 위해 혈당 상승
하지만, 수면무호흡증이 있으면 수면 중에 반복적으로 기도가 막히고, 이로 인해서 뇌가 깨어나는 것이 반복된다. 반복해서 깨어난 뇌는 포도당을 많이 소모하게 되는데, 부족한 포도당을 공급하기 위해 몸에 저장된 포도당 저장창고에서 포도당을 혈액으로 방출하여 뇌에 공급하면서 혈액의 혈당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수면 중 혈당이 지속해서 높아지면 이를 조절하기 위해 인슐린이 과도하게 분비하게 되고, 오래 반복되면 인슐린 저항성을 일으켜 당뇨병을 일으키게 된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제공,신경과신원철교수수면무호흡증양압기치료진료사진
강동경희대학교병원제공,신경과신원철교수수면무호흡증양압기치료진료사진
당뇨 환자 절반 이상에서 수면무호흡증 동반, 치료 경각심 가져야
당뇨병 환자들의 약 50~60%가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하고 있으며,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환자의 약 30~40%에서 인슐린 저항성 또는 내당능(glucose intolence)이 있는 것으로 관찰된다.

수면무호흡증과 당뇨병의 연관성과 관련하여 폐쇄수면무호흡증이 당뇨병, 대사성 질환의 직접적인 원인인지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반복되는 수면무호흡으로 인해 간헐적인 저산소증, 빈번한 각성으로 인한 수면 분절이 나타나 교감신경이 항진되고 전신 염증 반응을 일으켜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는 것이 당뇨 위험성을 높이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이번 연구를 통해 수면무호흡증과 당뇨병과의 연관성이 확인된 만큼, 앞으로 많은 사람이 수면무호흡증에 대해 적극 치료해야 하는 질환으로 인 경각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