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결혼 전 검사는 남성들에게도 필수다. 건강한 부부관계를 이어 나가기 위해선 결혼 전 성병검사를 비롯해 현재 모르고 있는 질병이 있는지를 남녀 모두 미리 검사해봐야 한다. 자녀를 계획하는 과정에서 난임과 불임으로 고생하는 부부들이 최근 늘고 있는데 이런 문제는 여성뿐 아니라 남성도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결혼 전 검사를 통해 몸에 이상이 있는지를 정확히 검진해야 한다.
만약 전립선염이나 성병 등의 질환이 있는데도 검사를 받지 않아 제대로 치료하지 않고 결혼하게 되면 임신이 잘되지 않을 뿐 아니라 임신을 하더라도 태아에게 안 좋은 영향을 미쳐 기형아 출산 등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최근에는 남성 불임도 늘어나고 있는 만큼 자녀 계획이 있다면 더욱 중요하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2015~2019) 불임으로 진료를 받은 인원은 2015년 21만66063명에서 2018년 22만7556명, 2019년 22만4743명으로 늘었다. 5년 새 남성 환자가 47% 늘었다. 2015년 5만3980명에서 2019년 7만9251명으로 늘었다.
남성들에게도 결혼 전 검진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데, 언제 받아야 하는지 시기를 정확히 모르는 경우도 상당하다. 결혼 전 검진은 최소 결혼 3개월 전에 받는 것이 적절한 시기라 보고 있다. 검사에서 정계정맥류와 같은 진단을 받게 된다면 수술이 필요할 수 있는데, 수술 시 회복되는 데까지는 3개월에서 길게는 6개월까지 소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남성 웨딩검진 시 남성질환 유무 확인과 더불어 남성호르몬, 전립선, 정자 활동 등을 전반적으로 검사하기 위해 기초 신체/건강검사, 소변검사, 혈액검사, 정액검사, 성병검사, 초음파검사, 체지방 검사 등을 실시한다.
정밀한 검진을 위해선 개인별 상담을 통해 꼭 필요한 검사만을 진행하고, 검사 항목별로 원활한 검진이 가능할 수 있도록 다양한 의료 장비를 갖추고 있는 비뇨기과를 선택해야 한다. 시간적인 여유가 부족한 경우에는 원스톱 진료를 통해 편안한 검사를 받아볼 수 있는 곳을 방문해주는 것이 현명하다.
유쾌한비뇨기과임태준원장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