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의학에서는 이런 경우 ‘매핵기’라는 질환으로 진단하고 있으며, 정신적인 스트레스와 연관된 신경성 질환으로 보고 있다. 조금은 생소한 듯한 질환이지만 최근 들어 매핵기와 유사한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어 매핵기에 대해 알아두는 편이 좋다.
한방에서는 인간의 감정에는 크게 일곱 가지(기쁨(喜), 성냄(怒), 근심(憂), 생각(思), 슬픔(悲), 놀람(驚), 두려움(恐))가 있다고 말한다. 이 일곱 가지 감정을 ‘칠정/七情’이라고 하는데 칠정이 한 쪽으로 몰리거나 과도하게 뭉치게 되면 우리 몸에 흐르는 기의 담연을 만들어 목구멍을 꽉 막히게 한다는 것이다. 즉 이러한 감정이 인후 부위에 울체되면서 발생하는 질환이 바로 매핵기이다.
그렇다면 매핵기는 어떤 사람에게 쉽게 발병할까? 주로 감정적으로 영향을 많이 받는 경우 빈번하게 발생하며, 또한 성격이 예민해 스트레스를 많이 받을수록 내재되어 있는 감정의 변화 폭이 크게 작용해 증상이 심해지는 경향을 보인다. 이와 더불어 서구화된 식습관, 미세먼지와 매연과 같은 공해, 선천적인 건성 기관지, 에어컨, 히터 등에 노출된 건조한 실내 환경 등도 매핵기 발병을 부추기는 요인이 된다.
매핵기와 유사한 증상을 양방에서는 역류성 식도염, 후두염 등으로 진단하기도 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질환은 매핵기와 달리 실제 인두, 후두 부위에 염증이 있거나 기능적으로 문제가 생긴 경우이기 때문에 지레짐작으로 판단하지 않고, 정확한 진단을 위한 검사가 필요하다.
또한 매핵기의 경우 수시로 재발되는 경우가 많아 단발성 치료보다는 개개인의 원인과 증상에 따른 명확한 치료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불어 스트레스에 영향을 주는 원인을 개선하기 위한 철저한 생활관리를 실천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경희숨편한한의원손형우원장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