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주대학교병원 혁신의료기기 실증지원센터(이하 센터)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X-선 발생장치인 C-arm의 영상 이미지를 활용한 수술용 AI 타겟팅 가이드 로봇 ANT-X의 임상 실증지원 및 적응증 확장을 위해 비뇨기과, 정형외과, 신경외과, 영상의학과 등 다양한 영역에서 연구를 진행한다.
또한 CT 영상 이미지를 활용해 환자의 병변과 로봇의 위치를 AI가 동시에 인식하고, 바늘의 궤적을 계산해 제안하는 차세대 ANT(Automated Needle Targeting) System 개발을 통해 차세대 수술용 AI 타겟팅 가이드 로봇인 ANT-C의 개발에도 참여하게 된다.
지금까지의 중재시술은 의료진이 별도의 프로그램을 이용해 환자의 해부학적 구조 파악, 시술용 바늘 궤적 계산 및 바늘 조준 등을 직접 해야 했기 때문에 긴 시간이 소요되고, 정확도가 낮은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ANT-X 및 ANT-C를 적용하면 시술용 바늘이 병변에 빠르고 정확하게 위치해 수술 시간이 단축되고, 보다 정밀하고 효과적인 중재시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는 회사측의 설명이다.
시지바이오 정주미 최고운영책임자(COO)는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당사의 재생의료 기술력과 NDR Medical Technology사의 AI 기술력을 아주대학교병원의 연구 인프라와 접목해 다양한 분야에서 체계적이고 통일된 기준으로 실증을 진행할 것”이라며 “또한 차세대 AI 타겟팅 로봇 개발을 적극 추진해 신속하고 효율적인 수술이 가능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