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제로 노안과 백내장은 발병하는 시기도 비슷하고 초기 증상도 비슷하다. 노안과 백내장 모두 초기에는 시야가 또렷하지 않고 시력이 저하되는 증상을 겪기 때문에 이 둘의 증상을 구별할 수 있는 성인은 20%도 되지 않는다.
노안은 노화로 인해 40대 이후에 생기는 현상으로, 가까운 거리의 작업을 하는 데 불편함이 느껴지면 노안을 의심해봐야 한다. 근거리 시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신문을 읽거나 독서를 할 때 글자가 잘 보이지 않고, 가까운 것과 멀리 있는 것을 교대로 볼 때 사물이 바로 또렷하게 보이지 않는다.
노안은 대개 돋보기나 얇은 안경만 써도 시력이 교정될 수 있으며, 긴 시간 눈을 집중적으로 쓰는 장시간 독서나 운전 등은 눈이 피로해져 초점이 맞지 않기 때문에 줄이는 것이 좋다.
백내장은 눈 속 투명한 수정체가 노화 때문에 단백질화 되어 혼탁해지는 질환으로, 전체 시야가 뿌옇게 보이거나 시력 저하 증상이 나타나며 물체가 이중으로 보이는 복시 현상을 호소하기도 한다. 국내 40세 이상 성인의 백내장 유병률은 42.3%에 이르며 65세 이상 성인은 90%로 상당히 높아 중장년층은 정기적으로 안과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백내장 증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수술을 받는 편이 좋다. 혼탁해진 수정체를 제거한 뒤 깨끗한 인공수정체를 넣는 비교적 간단한 수술 과정이지만, 백내장 진단을 받았다고 무조건 수술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너무 일찍 수술을 받으면 수술 후 변화가 크지 않아 만족도가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백내장 증상의 진행 정도와 환자가 느끼는 불편 정도 등을 고려해 수술 시기를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 최근 백내장 수술 시 사용되는 인공수정체의 종류가 다양해지면서 환자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추어 인공수정체를 고를 수 있는 선택의 폭이 넓어졌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단초점 인공수정체는 원거리나 근거리 하나에만 초점을 맞추어 원거리가 잘 보이는 인공수정체 선택 시 책이나 신문 등 근거리 작업을 하면 안경이나 돋보기를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백내장 수술 후 안경이나 돋보기를 사용해도 괜찮다면 단초점 인공수정체를 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초점 인공수정체는 별도의 교정 장치 없이 근거리와 중거리, 원거리 모두 볼 수 있고, 이와 동시에 눈의 굴절이상으로 나타나는 시력 저하 등 노안 증상까지 개선할 수 있어 노년층의 시력교정술 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백내장 수술에 사용되는 단초점과 다초점 인공수정체의 경우 자신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인공수정체를 택하면 된다. 다만 다초점 인공수정체를 사용한 백내장 수술은 미량의 빛 손실이 있어 기존에 녹내장이나 망막 질환을 가지고 있던 환자라면 수술 후 기대했던 것만큼 큰 효과를 볼 수 없다고 느낄 수도 있다. 때문에 수술 전 정밀검사를 통해 다른 안질환은 없는지 의료진과의 상담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GS안과임성협원장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