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가자연세병원전병호병원장
김포가자연세병원전병호병원장
목디스크란 경추 뼈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디스크라는 구조물이 제 위치를 벗어나 신경을 압박을 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본래 이 디스크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 역할을 맡고 있는 구조물이지만 잘못된 생활습관이나 지속적으로 전달되는 충격으로 인해 돌출되는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해당 질환은 경미한 통증으로 시작되기에 방심하기 쉽지만, 디스크가 제 위치에서 벗어나면서 압박하는 신경의 위치나 정도에 따라 통증의 강도에 차이가 있다. 초기에는 뒷목이 뻐근해지고 가벼운 통증이 있다가도 시간이 지체될수록 어깨, 팔, 손가락까지 저림 현상이 일어나며 증상이 악화된다. 이때 팔에 이어지는 감각과 근력이 저하되면서 섬세한 작업이 어려워지기도 하며 원인을 알 수 없는 두통도 동반될 수 있기 때문에 이 같은 증상이 느껴질 경우 신경외과 혹은 정형외과에 내원하여 바로 조치를 취해주는 것이 현명하다.

목디스크는 보통 노화 현상에 의한 퇴행성변화로 일어난다는 질환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하지만 최근에는 스마트폰이나 컴퓨터 사용량이 증가하고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잘못된 자세를 취하게 되면서 발병되는 경우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또한 코로나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되면서 운동을 즐기는 사람들도 증가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목에 지속적인 부담이 가해지면서 목디스크로 이어지기도 한다.

목디스크는 초기에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데 진단 결과 디스크의 탈출 및 파열 정도가 심하지 않다면 약물복용, 주사치료, 물리치료와 같은 보존적 치료만으로 충분히 회복을 기대해 볼 수 있다.

하지만 충분한 시간을 두고 지켜보았음에도 호전되는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면 고주파수핵감압술과 같은 수술적인 방법을 고려해 봐야 한다. 이는 저온의 고주파 열에너지를 방출하는 가느다란 관을 통증의 원인이 되는 디스크에 삽입하여 신경 압박을 풀어주는 치료법이다. 통증을 완화시키는데 효과적이고, 부분마취로 이루어지는데다 당일 퇴원이 가능해 부담이 크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최근에는 노화로 인한 발병률 보다는 잘못된 생활습관으로 목디스크가 발병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바른 습관의 개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먼저 목에 무리가 가지 않을 정도의 적당한 운동을 통해 목, 어깨 주변 근육을 강화시켜주고, 업무나 운전으로 인해 장시간 한 자세를 취해야 하는 경우라면 간간이 스트레칭을 진행하여 경직된 근육을 풀어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글 : 가자연세병원 전병호 병원장)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