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의사협회관
대한의사협회관
대한의사협회가 협상구조의 개선을 요구하며 5월 수가협상의 보이콧을 시사했다.

9일 의협은 보도자료를 통해 현재의 불합리한 수가협상 구조개선 없이는 협상이 나서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2022년 역대 최저 수준의 수가인상률이 결정된 후 의협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기존의 SGR 모형을 폐기하고 합리적인 새 수가모형 개발과 공평한 협상구조 마련 등 제도의 개선을 요구했다. 이에 공단은 연구를 통해 GDP 증가율 모형 등을 제시했다. 하지만 기존 SGR 모형과 별반 차이가 없다는 게 의협의 입장이다.

의협은 “수가협상의 가장 핵심이 되는 밴드 결정을 위한 논의과정에 여전히 공급자 단체의 참여는 보장되어 있지 않고, 공단 재정운영위원회와의 소통기전도 마련되지 않았다”며 분통을 터트렸다.

의협이 밝힌 바에 따르면 더 이상 수가협상 참여가 무의미하다는 의견이 의료계 내부에서 제기되고 있으며, 협상 권한을 위임받은 대한개원의협의회조차 협상권한을 반납한 상태다.

의협은 “공단이 4개 모형을 제시하고, 재정운영위원회 소위원회 개최시간을 일부 앞당기고 있으나 협상 2개월을 앞 둔 시점에서 협상방식과 어떤 차기 있을 지도 회의적”이라며 “공단이 건강보험 재정 일몰제 및 공공정책수가를 이유로 수가협상의 여지를 사전에 차단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의 협상 참여를 담보할 수 없다”고 말했다.

밴딩의 규모 및 결정 과정의 불투명함, 재정운영위원회와의 소통기전 부재, 자정을 넘어서는 소모적인 협상, 계약결렬시 공급자 측에 일방적으로 불리한 건정심 의결 과정 등 산적한 문제점은 여전히 존재하는데 개선의 여지는 여전히 찾아보기 어렵다는 것이다.

의협은 “현행의 불합리한 수가협상 제도의 가시적 변화가 없다면 비장한 심정으로 수가협상 참여 거부까지 고려하고 있음을 다시 한번 밝힌다”며 강조했다.

저작권자 © 헬스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