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결과, 수면무호흡증 환자 혈당 증가 확인

필자와 강동경희대병원 신경과 변정익 교수, 내분비내과 정인경, 전지은 교수 연구팀이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해 잦은 각성과 이로 인한 교감신경계 항진이 당뇨병을 일으키는 기전을 밝혀냈다. 72시간 혈당 모니터링이 가능한 CGMS 장비를 이용하여, 기존에 당뇨병이 없는 수면무호흡증 환자와 정상군에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수면을 측정하면서 지속해서 혈당 변화를 측정하여 양군 간의 혈당 변화를 연구하였다.
수면무호흡증 환자, 수면 시에도 혈당 지속 증가
연구 결과, 정상군과 경미한 수면무호흡증 환자군은 잠든 후에 혈당이 지속해서 떨어지는 것이 관찰되었으나, 중등도 이상의 심한 수면무호흡증 환자군은 잠든 후에, 혈당이 점차 증가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임상시험대상자들은 기존에 당뇨병이 없었고, 깨어 있을 때 측정한 혈액검사에서도 혈당은 정상이었다. 본 연구는 2020년 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되었다.

잠을 자는 동안에는 신체의 기능뿐만 아니라 뇌의 기능, 활동성이 떨어져 잠자는 동안 80~120Kcal만 소비하게 되며 체내의 포도당이 필요하지 않아 에너지가 보존된다. 따라서, 잠을 잘 자고 중간에 깨지 않으면 몸에서 포도당 소모가 최소화되고 몸에 저장된 포도당의 공급이 필요하지 않게 됨으로써, 잠든 뒤로 혈당이 점차 떨어지게 된다.
수면무호흡증으로 뇌 반복해서 깨면서 에너지 공급 위해 혈당 상승
하지만, 수면무호흡증이 있으면 수면 중에 반복적으로 기도가 막히고, 이로 인해서 뇌가 깨어나는 것이 반복된다. 반복해서 깨어난 뇌는 포도당을 많이 소모하게 되는데, 부족한 포도당을 공급하기 위해 몸에 저장된 포도당 저장창고에서 포도당을 혈액으로 방출하여 뇌에 공급하면서 혈액의 혈당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수면 중 혈당이 지속해서 높아지면 이를 조절하기 위해 인슐린이 과도하게 분비하게 되고, 오래 반복되면 인슐린 저항성을 일으켜 당뇨병을 일으키게 된다.

당뇨병 환자들의 약 50~60%가 폐쇄성수면무호흡증을 동반하고 있으며, 수면무호흡증이 있는 환자의 약 30~40%에서 인슐린 저항성 또는 내당능(glucose intolence)이 있는 것으로 관찰된다.
수면무호흡증과 당뇨병의 연관성과 관련하여 폐쇄수면무호흡증이 당뇨병, 대사성 질환의 직접적인 원인인지는 아직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그러나 반복되는 수면무호흡으로 인해 간헐적인 저산소증, 빈번한 각성으로 인한 수면 분절이 나타나 교감신경이 항진되고 전신 염증 반응을 일으켜 인슐린 저항성이 증가하는 것이 당뇨 위험성을 높이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이번 연구를 통해 수면무호흡증과 당뇨병과의 연관성이 확인된 만큼, 앞으로 많은 사람이 수면무호흡증에 대해 적극 치료해야 하는 질환으로 인 경각심을 가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강동경희대학교병원신경과신원철교수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