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기 작고 통증 없으면 경과 관찰, 증상 발생 시 수술로 절제

대개 증상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복부종괴, 출혈이나 골반 압박증상, 통증 등에 의해 발견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자궁근종은 크기가 작고 특별한 증상을 일으키지 않는다면 치료가 필요하지는 않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경과만 관찰해도 된다. 다만 급속히 크기가 증가하거나, 방광이나 장과 같은 주변 장기를 압박하여 배뇨장애, 변비가 발생하는 경우, 월경시 출혈량이 많아서 빈혈을 초래하는 경우, 월경통이나 골반통이 심한 경우, 근종이 불임의 원인이 되는 경우 등에는 치료를 해야 한다. 특히, 폐경 이후에 근종의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수술로 제거한 뒤 조직검사를 통하여 자궁육종 등 악성종양과 감별을 해야만 한다.
대표적인 치료방법은 자궁을 보존하면서 시행하는 자궁근종 절제술이다. 자궁근종 절제술은 접근 방법에 따라 개복 자궁근종 절제술, 로봇과 복강경을 이용한 자궁근종 절제술, 자궁경을 이용한 자궁근종 절제술 등이 있다. 자궁근종 절제술의 방법은 자궁근종의 위치나 크기, 자궁근종의 개수, 환자의 과거 수술 기왕력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자궁근종과 관련하여 나타날 수 있는 대표적인 증상, 즉 비정상 자궁출혈, 골반 및 하복부 통증, 월경통, 복부 압박감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이를 무시하지 말고 병원에서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자궁근종이 있더라도 50~70%에서는 이러한 임상증상이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1년에 한 번 정도 정기적인 산부인과 검진을 하는 것도 중요하다.
자궁근종은 식습관과 과도한 스트레스, 과로, 흡연, 운동 등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도 분명히 발병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적절한 운동과 규칙적이고 균형 잡힌 식습관, 금연, 적절한 취미 생활 등을 통한 스트레스의 해소와 휴식과 같은 관리 방식이 예방에 도움이 된다.
건국대병원산부인과심승혁교수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