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 기명 교수팀, 가계재정위기와 극단적 선택 생각 상관관계 밝혀 … 65세 이상 남성이 2년 이상 재정적 어려움 겪으면 극단적 선택 생각 4.2배 ↑

우리나라의 자살률은 전 세계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다. 또한, 현재 코로나19가 장기화됨에 따라 재정적 어려움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추후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한 자살률 또한 높아질 수 있다. 연구팀은 지난 1년 동안 돈이 없어 △전·월세 미납 또는 강제퇴거 △공과금 미납 △겨울철 난방 사용 못함 △건강보험 미납 또는 보험 급여자격 상실 △가구원 중 신용불량자 존재 △의료서비스 이용 어려움 △균형 잡힌 식사의 어려움 이상 7개 요소 중 한 가지를 경험했다면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가정하고 연구를 진행했다.

65세 이상의 경우 재정적 어려움 요소가 한 가지씩 증가할 때마다 여성은 23%, 남성은 39%씩 극단적 선택 생각이 증가했다. 그뿐만 아니라 재정적 어려움 요소를 3개 이상 겪은 65세 이상 남성은 극단적 선택 생각이 3배 증가했으며, 2년 연속 재정적 어려움을 겪으면 극단적 선택 생각이 4.2배 증가했다. 이는 우울증 소견이 있는 경우 극단적 선택 생각이 2.9배 증가하는 것과 비슷한 수준의 극단적 선택 생각 위험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자살은 극단적 선택 생각, 우울증 등 정신·심리적 과정을 거치지만 물질적인 구조에 의해서도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아울러 극단적 선택 생각이 극단적 선택 자체를 의미하지는 않지만 극단적 선택의 선행요인이며, 극단적 선택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높기 때문에 그 의미가 크다.
연구책임자 기명 교수는 “이번 연구는 경제적 요인도 극단적 선택에 영향을 끼칠 수 있어 보건의료 정책 또한 사회경제적 접근을 병행해야 한다는 것을 뜻하며, 재정적 어려움으로 인한 극단적 선택 예방 정책 마련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며, “코로나19는 사회경제적으로 취약한 집단에게 더욱 혹독하기 때문에 이들이 겪는 어려움을 더욱 면밀하게 파악하고 걸맞은 지원책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소감을 전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정신의학 분야 저명한 국제학술지인
김지예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