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지만 평소에 꾸준히 운동을 하지 않았다면 가파른 산을 오르내릴 때 부상의 위험이 커진다. 특히 운동 전후에는 반드시 스트레칭을 해주어야 하며 평소 운동량이 부족한 사람이라면 보호장비를 통해 부상 위험을 줄이는 것이 좋다.
하산을 할 때 무릎에 충격이 가해지면 관절 부상으로 이어지기 쉬운데 흔히 발생하는 질병이 무릎 십자인대 파열이다. 십자인대는 다리가 과도하게 비틀리거나 관절이 비정상적인 방향으로 꺾일 때 잘 파열되는데, 등산을 하면서 발을 디딜 때 주의하지 않으면 비교적 약한 전방 십자인대가 파열되는 경우가 많다.
전방 십자인대 파열이 나타나면 무릎에 통증, 부종이 생기며 관절이 불안정하게 흔들리는 듯한 느낌을 동반한다. 또한 통증은 수 분 내에 가라앉기도 하여 파열이 되었다고 해도 방치를 하고 넘기는 경우도 많다.
그런데 십자인대 파열은 그대로 방치를 할 경우에 무릎 연골에 충격이 계속 가해져 연골 손상으로 까지 이어질 수 있어 조기에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십자인대 파열은 심하지 않다면 물리치료, 약물치료, 물리치료 등 비수술적 치료로 치료할 수 있다.
하지만 십자인대 파열을 방치하였거나 파열 양상이 큰 편이라면 초소형 내시경과 특수 기구를 삽입해 십자인대를 제거하고 다른 인대를 이식하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 이를 십자인대 재건술이라고 부르며 무릎 수술 후에는 재활 관리가 반드시 필요한 만큼 수술 후 체계적으로 사후관리까지 가능한 병원인지 알아보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사튼튼병원관절센터김성태대표원장 기자
press@healthin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