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협약 체결에 따라 서지넥스 신약개발본부장 김옥희 이사는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 이혁진 교수의 기술 자문을 통해, mRNA 및 siRNA 등 RNA 유전자 전달이 가능한 나노제형 (엑소좀, 리포좀, 지질나노입자) 플랫폼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이번 공동개발은 서지넥스가 보유한 AI(인공지능)기반 고(高)표적율을 지닌 나노입자가 약물(화학화합물 및 단백질)뿐만 아니라 유전체까지 전달할 수 있는 전달력을 확보하기 위해 이온화 지질나노입자(Ionizable Lipid Nanoparticles, LNPs)를 이용한 세포 표적 RNA 약물 전달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한 이혁진 교수 연구팀과 협력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약물전달 시스템(DDS:Drug Delivery System)은 몸속의 원하는 표적에 안전하고 정확하게 치료약물을 전달하는 시스템이다. 치료가 필요한 세포 및 조직으로만 약물을 전달하므로 적은 용량으로도 큰 치료효과를 가질 수 있고,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질환치료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원천기술만 확보된다면 글로벌 빅파마(Global Big Pharma)로의 기술 라이선스도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된다.
김세준 서지넥스 대표는 "지질나노입자의 이온화지질을 개발한 이혁진교수 연구진과 자문 계약 및 협업을 진행하게 되어 기쁘다. 현재 전세계는 유전자전달을 위해 표적능력을 보강한 4세대 지질나노입자 개발을 위해 치열한 경쟁 중이며 서지넥스도 이 경쟁에서 반드시 좋은 성과를 거둘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임혜정 기자
press@healthinnews.co.kr